'철강위기' 광양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2년간 종합지원(종합)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5개
수집 시간: 2025-11-20 17:28:4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연합뉴스 2025-11-20 15:25:21 oid: 001, aid: 0015754061
기사 본문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10억원·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지원 강화 국회 산자위 소위서 'K-스틸법' 통과…이달 본회의 상정해 처리 가능성 출하기다리는 광양제철소 철강 제품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중국발 공급 과잉과 미국의 50% 품목관세 등 여파로 철강 산업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 정책금융 등 정부 지원을 받는다. 철강 산업 관련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지난 8월 경북 포항시에 이어 두 번째이며 올해 들어 석유화학 산업 위기로 지정된 전남 여수, 충남 서산을 포함하면 4번째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이날부터 2년간 광양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했다. 앞서 광양시는 지난달 1일 지역 기반 산업인 철강 산업 위기를 이유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통계청 통계에 따르면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0 16:23:19 oid: 025, aid: 0003484135
기사 본문

광양제철소에 철강을 실은 화물 차량이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철강산업 침체가 심화하면서 ‘철강 도시’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인한 수출 급감, 내수 둔화, 전 세계적인 공급 과잉 등 ‘삼중고’가 겹치며 지역경제의 80% 이상을 떠받쳐온 철강 생태계가 흔들리자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열고 이날부터 2027년 11월 19일까지 2년간 광양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은 지역 주력산업의 급격한 침체가 예상될 때 정부가 사전에 지정해 금융·세제·고용 등 종합 지원을 투입하는 ‘예방형 산업위기지역 제도’다. 철강산업이 기반인 지역을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건 지난 8월 포항에 이어 올해 2번째다. 석유화학 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남 여수(5월), 충남 서산(8월)도 선제대응지역으로 올해 지정됐다. 광양이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데에는 지역경제가 철강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6:13:07 oid: 011, aid: 0004558262
기사 본문

여수·서산·포항 이어 4번째 지정 광양시, 생산 89%·고용 10% 철강 의존 광양 재정자립도 2000년대 들어 최저치 "지역 철강 산업 현저한 악화 우려" 20일 찾은 전남 광양시 광양산업단지 거리가 그 흔하다는 코일 실은 트레일러도 쉽게 찾기도 힘들었다. 광양=박지훈 기자 [서울경제] “당장 생산 라인이 멈춘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불안해합니다. 당장 이번 겨울이 고비라는 말이 공장 안팎에서 공공연하게 나옵니다”(포스코 협력업체 직원) 중국발 공급 과잉, 미국발 50% 품목관세, 국내 건설 경기 침체 등 국내 철강 산업이 전례 없는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정부가 전라남도 광양시를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했다. 철강 산업을 주축으로 성장해오던 지역 경제도 고꾸라졌기 때문이다. 산업계 안팎에서는 위기에 빠진 석유화학·철강 산업 재편 및 관련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전남 광양시를 이날부터 2027년 11월 1...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20 15:59:47 oid: 008, aid: 0005281054
기사 본문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2025.8.2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스1 철강산업 침체로 어려움에 처한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각종 지원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전남 광양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지정 기간은 이날부터 2027년 11월19일까지 2년간이다. 주요 철강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광양시는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의 철강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한 철강산업 침체로 지역경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광양시는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에 따라...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20 15:47:15 oid: 079, aid: 0004088125
기사 본문

광양국가산단 전경. 광양제철소 제공 전남 광양시는 철강산업 침체 우려로 정부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는 20일부터 2027년 11월 19일까지 2년간 광양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확정했으며, 이는 여수·서산·포항에 이어 네 번째 지정이다. 광양시는 지역경제의 핵심 기반인 철강산업 의존도가 특히 높아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가 철강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저가 수입재 증가, 단가 하락, 내수 부진이 겹치면서 지역경제 전반의 침체가 심화되자, 시는 지난달 1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정부에 신청했다. 광양시는 정부의 신청서 검토와 현지 실사,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지정이 확정되면서, 지역 중소기업과 산업 전반을 위한 폭넓은 지원을 받게 됐다. 향후 2년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중소기업 금융지원(만기연장·상환유예) △협력업체·소상공인 우대보증 등 다...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20 11:11:09 oid: 016, aid: 0002560549
기사 본문

긴급경영 안정자금·지방투자 촉진 보조금 등 우대…정책금융 지원도 강화 광양제철소 전경.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보호무역주의와 저가 중국산 공급 확산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전남 광양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20일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통해 이날부터 2027년 11월 19일까지 광양을 2년간 지정한다고 공고했다. 산업위기대응 심의위는 산업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기재부·행안부·고용부·국토부·중기부·금융위 차관 6명과 민간위원 6명이 참여한다. 광양은 올해 들어 석유화학 전남 여수(5월1일)와 충남 서산(8월28일), 철강 경북 포항(8월28일)에 이어 네 번째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저가 철강수입재 확대 및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인해 철강산업에 집중된 지역경제의 산업 전반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이에 지난달 1일 전...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20 14:17:27 oid: 014, aid: 0005437490
기사 본문

20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광양시 전경.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지역 주력사업인 철강산업이 침체되자,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된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20일 산업통상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2027년 11월19일까지 2년 간 산업위기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했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전남 여수(석유화학), 충남 서산(석유화학), 경북 포항(철강)에 이어 네 번째다. 지난 10월 1일 전라남도는 광양시의 철강산업 위기를 이유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저가 철강수입재 확대 및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인해 철강산업에 집중된 지역경제의 산업 전반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의 철강 관세 정책 및 유럽연합(EU)의 저탄소전환 등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20 17:28:17 oid: 374, aid: 0000476084
기사 본문

[출하기다리는 광양제철소 철강 제품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발 공급 과잉과 미국의 50% 품목관세 등 여파로 철강 산업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 정책금융 등 정부 지원을 받습니다. 철강 산업 관련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지난 8월 경북 포항시에 이어 두 번째이며 올해 들어 석유화학 산업 위기로 지정된 전남 여수, 충남 서산을 포함하면 4번째입니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오늘부터 2년간 광양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했습니다. 앞서 광양시는 지난달 1일 지역 기반 산업인 철강 산업 위기를 이유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습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통계청 통계에 따르면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수년간 저가 철강 수입재 확대 및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역경제 전반이 크게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