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까지 은행 순익 21.1조로 역대 최대…작년보다 12%↑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환율 하락·홍콩 ELS 기저효과 등 일회성 요인 영향 5대 시중은행 (PG) [구일모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강수련 기자 =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2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하락으로 인해 외환·파생 이익 등 비이자이익이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1조1천억원으로 작년 동기(18조8천억원) 대비 2조3천억원(12.0%)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이자 이익이 44조8천억원으로 작년 동기(44조4천억원)보다 3천억원(0.7%) 증가했다. 순이자마진(NIM)이 0.07%p 감소했으나 이자수익 자산이 3천413조5천억원으로 4.5% 증가하면서 이자 이익도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6조8천억원으로 작년 동기(5조7천억원)보다 1조1천억원(18.5%) 증가했다.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2조6천...
기사 본문
[금융감독원 제공] 국내은행이 올해 3분기까지 21조원이 넘는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뒀다. 환율 하락으로 인해 외환·파생 이익 등 비이자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3분기 누적 기준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1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8조8000억원) 대비 2조3000억원(12.0%) 증가했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이자 이익이 44조8000억원으로 작년 동기(44조4000억원)보다 3000억원(0.7%) 증가했다. 순이자마진(NIM)이 0.07%포인트(p) 감소했으나 이자수익 자산이 3413조5000억원으로 4.5% 증가하면서 이자 이익도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6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7000억원) 대비 1조1000억원(18.5%) 증가했다.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2조6000억원 증가한 영향이다. 영업외손익은 1조6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
기사 본문
환율 하락으로 비이자이익이 실적 견인 9일 서울 용산구에 설치된 은행 ATM기를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뉴스1 국내 은행이 올해 3분기 누적 21조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역시 역대 최대를 기록한 지난해 전체 실적에 근접하는 규모다. 이자이익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상반기 환율 하락 등으로 인한 비이자이익 급증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당기순익은 21조1,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18조8,000억 원) 대비 2조3,000억 원(12.0%) 증가했다. 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단일연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지난해 당기순이익(22조2,000억 원)에 9개월 만에 육박했다. 이자이익은 44조8,000억 원으로 작년보다 3,000억 원(0.7%) 증가했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NIM)이 0.07%포인트 축소됐지만,...
기사 본문
비이자이익도 전년 대비 18.5% 증가 국내 은행이 올해 3분기까지 21조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냈다. 누적 이자이익은 44조8000억원을 돌파했다. /더팩트 DB [더팩트 | 김태환 기자] 국내 은행이 올해 3분기까지 21조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냈다. 특히 누적 이자이익은 44조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 3분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누적 21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8조8000억원) 대비 2조3000억원(12%) 늘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 당기순이익(22조2000억원) 규모를 3분기 만에 거의 따라잡은 셈이다. 시중은행의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 누적 12조6000억원에서 올 3분기 누적 14조1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11.9%) 뛰었다. 특수은행은 6조2000억원에서 6조9000억원으로 12.2% 증가했다. 인터넷은행도 같은 기간 5000억원에서 6...
기사 본문
2025.02.05 [서울=뉴시스] 국내 은행들이 올 9월 말까지 21조 원이 넘는 누적 순이익을 내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다시 썼다.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거의 늘지 않았지만 비이자이익, 영업외손익 등이 급증하며 아홉 달 만에 작년 한 해 순이익에 근접했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국내 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 1~3분기(1~9월) 국내 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21조1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조3000억 원) 늘었다. 9개월간의 순이익이 작년 한 해 순이익(22조4000억 원)의 94%에 이른다. 지난해 은행 순이익이 역대 최대치였던 점을 고려하면 연말 시점의 누적 순이익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이자이익은 44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7%(3000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늘면서 비이자이익이 1년 전 대비 18.5%(1조1000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외...
기사 본문
지난 19일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은행 ATM기. 연합뉴스 올해 1~3분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21조원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환율 하락에 따라 외환과 파생상품 거래에서 벌어들인 이익이 늘었고, 지난해 상반기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 지출의 기저 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1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조8000억원에 비해 2조3000억원(12.0%) 증가했다. 항목별로 보면 비이자이익의 증가가 이번 실적 상승의 주된 요인이 됐다. 비이자이익 규모는 6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조7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18.5%) 늘어났다.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과 파생상품 거래에서 벌어들인 이익이 2조6000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자 이익은 44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4조4000억원보다 3000...
기사 본문
이자이익 증가 폭 제한됐지만 비이자이익 18%↑ 환율 효과·ELS 기저효과로 외환·파생이익 대폭 개선 연체율 오름세 지속…대손비용 2%대 증가 부담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뉴시스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올해 1~3분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이 21조원을 넘어 전년보다 1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파생 관련 이익 확대와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 기저효과 제외가 겹치면서 이익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22일 금감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1~3분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은 21조1000조원으로 전년 동기(18조8000억원) 대비 2조3000억원(12.0%) 증가했다. 일반은행 순이익은 14.1조원으로 은행 유형별로는 △시중은행 12조6000억원 △특수은행 6조9000억원 △지방은행 1조원 △인터넷은행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시중은행(1...
기사 본문
비이자이익 1.1조·영업외손익 3.1조 전년 대비 늘어 금감원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취약부문 대손비용 늘 수 있어"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모습. 2018.4.17/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국내 은행이 비이자이익 증가 등에 힘입어 3분기 누적 21조 원이 넘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20일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하며,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21조 1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8조 8000억 원) 대비 2조 3000억 원 늘었다고 밝혔다. 12.2% 증가율로 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일반은행 순이익은 14조 1000억 원으로, 시중은행이 1조 5000억 원, 인터넷전문은행 은 500억 원 등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지방은행은 500억 원 소폭 감소했다. 3분기 기준으로는 6조 200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 분기 대비로는 1조 원 감소했다. 3분기 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