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협 "주식 장기투자자에게 의결권·배당·세제서 혜택 제공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상장사협의회는 20일 코스피 5000을 위해서는 장기 투자자에게 의결권·배당·세제 측면에서 혜택을 제공해야 된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한국상장회사정책연구원 의뢰로 최승재 세종대 법학과 교수가 작성한 '주주의 장기보유를 위한 제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한국의 주식시장 회전율은 200.8로 미국(68.5)의 약 3배, 일본(117.0)의 1.7배에 달한다. 2020년 이후 개인투자자 유입이 폭증하면서 평균 주식보유 기간이 코스피 2.7개월, 코스닥 1.1개월까지 단축되는 등 단기매매가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다. 단기매매가 확대될수록 시장에는 악영향을 끼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단기 성과주의 심화로 인한 연구·개발(R&D) 투자 급감과 제조업 경쟁력 약화다 ▲개인투자자의 군집행동으로 인한 시장 효율성 훼손 ▲경영진·주주 간 신뢰관계 붕괴다. 상장협은 "투자와 회수 시점의 경영진이 달라질 가능성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인 우리나라 현실에서 기업은 장기 R&...
기사 본문
韓 주식시장 회전율 美·日보다 높아 장기 투자보단 단타 매매 활발 "장기 투자문화 조성 절실" 올해 우상향을 거듭해 온 코스피가 내년 5000포인트 돌파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상장회사협의회(이하 상장협)는 20일 장기 투자자 대상 복수의결권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5000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데일리안 = 강현태 기자] 올해 우상향을 거듭해 온 코스피가 내년 5000포인트 돌파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상장회사협의회(이하 상장협)는 20일 장기 투자자 대상 복수의결권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5000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상장협은 이널 최승재 세종대학교 법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작성된 '주주의 장기보유를 위한 제도 연구' 보고서를 공개하며 의결권·배당·세제 측면에서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3대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주식시장 회전율은 200.8로 미국(68.5)의 ...
기사 본문
장기보유 주주에 추가 의결권 부여 보유기간 별 배당소득 분리과세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장기 보유 주주 혜택 강화'가 필요하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개인투자자의 평균 주식 보유기간이 3~6개월에 불과하고, 거래회전율이 미국의 3배에 달하는 등 자본시장 전반에 단기주의가 만연한 가운데, 장기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 제도 개선 방안이 제시된 것이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한국상장회사정책연구원은 최승재 세종대학교 법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주주의 장기보유를 위한 제도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의결권·배당·세제 측면에서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3대 정책과제를 발표하며 관련 법령 개정을 촉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주식시장 회전율은 200.8로 미국(68.5)의 약 3배, 일본(117.0)의 1.7배에 달한다. 특히 2020년 이후 개인투자자 유입...
기사 본문
'주주의 장기보유를 위한 제도 연구' 보고서 발표 장기보유 주주에 복수의결권 부여 등 방안 제시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이하 상장협)가 코스피 5000을 달성하기 위해선 장기 보유 주주에 대한 혜택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한국상장회사협의회) 20일 상장협과 한국상장회사정책연구원은 ‘주주의 장기보유를 위한 제도 연구’ 보고서 발표를 통해 의결권·배당·세제 측면에서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3대 정책과제를 발표하며 관련 법령 개정을 촉구했다. 보고서는 최승재 세종대 법학과 교수에게 의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주식시장 회전율이 200.8로 미국(68.5)의 약 3배, 일본(117.0)의 1.7배에 달한다. 특히 2020년 이후 개인투자자 유입이 폭증하면서 평균 주식보유기간이 코스피 2.7개월, 코스닥 1.1개월까지 단축되는 등 단기매매가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단기주의의 구체적 폐해로 △경영진의 단기 성과주의 심화로 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