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AI 선순환 구조 진입” 삼성·SK하이닉스 HBM 청신호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1-20 17:16:2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1-20 11:34:19 oid: 016, aid: 0002560628
기사 본문

“메모리 파트너사와 AI수요 증가 대응” 엔비디아 “내년 하반기 ‘루빈’ 본격 양산” ‘루빈’에 삼성·SK하이닉스 HBM4 탑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AFP] 엔비디아가 전 세계 주식시장에 확산된 ‘인공지능(AI) 거품론’을 잠재우며 2026년 하반기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의 램프업(생산 확대)을 예고했다. 루빈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4) 공급을 앞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시장 우려와 달리 내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의 2026 회계연도 3분기(8~10월) 실적 발표를 겸해 진행된 콘퍼런스 콜에서 “(AI 가속기의 세대가 진화할수록) 데이터센터 내에서 우리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 CEO는 “‘호퍼’의 경우 데이터센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5%정도였는데 최신 AI 가속기인 블랙웰은 30% 내외다. 루빈은 그보다 더 높...

전체 기사 읽기

블로터 2025-11-20 16:30:14 oid: 293, aid: 0000075341
기사 본문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엔비디아 글로벌 인공지능(AI)칩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을 크게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하며 일각에서 제기된 'AI 거품론'를 우려를 불식시켰다. 특히 AI 산업이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음을 강조하며 내년에도 주력 제품인 블랙웰을 비롯해 차세대 AI 가속기인 '루빈'의 램프업(생산 확대)을 예고한 만큼 이 제품에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공급을 앞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수혜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역대 최대 실적 갱신…젠슨 황 CEO "AI 산업 선순환 구조 진입" 20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날 실적 발표를 통해 2026 회계연도 3분기(8~10월)에 매출 570억달러(약 83조7400억원), 영업이익 360억100만달러(약 52조8200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 영업이익은 65% 증가한 수치...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20 16:53:08 oid: 374, aid: 0000476065
기사 본문

■ 머니쇼+ '투자 노하우' - 이주완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 박사 발표일이 한참 남았을 시점부터 전 세계 금융시장의 주목을 받았던 엔비디아 실적, 오늘(20일) 오전 공개가 됐는데요. 말 그대로 ‘깜짝 실적’이었어요?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에 블랙웰 수출을 승인했다는 소식도 있었고 4분기 매출 전망도 좋았잖아요. 엔비디아의 실적이 AI 거품론을 확실히 없앨지, 영향은 어디까지 미칠지 알아보겠습니다.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 이주완 박사 모셨습니다. Q. 오늘 새벽이었죠.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매출 성장률이 둔화됐을지, 수요에는 이상이 없는지 발표 전까지 시장에서 많은 전망이 오갔는데요. 결과는 어떻게 보셨어요? - 엔비디아 3분기 매출 570.1억·EPS 1.30달러 - 엔비디아 3분기 매출, 전년동기대비 62%↑ - 엔비디아 3분기 매출, 직전분기대비 22%↑ - 엔비디아 3분기 데이터센터 매출 512억 달러 - 엔비디아 3분기 GPU 매출 430달러 기록 - 엔비...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20 16:06:19 oid: 421, aid: 0008616542
기사 본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공동취재) 2025.10.3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한유주 기자 = 엔비디아의 호실적에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 주가가 4% 넘게 뛰며 '10만전자'를 회복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4100원(4.25%) 오른 10만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도 9000원(1.60%) 오른 57만1000원에 마감했다. 미국 증시 마감 이후 엔비디아가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며 AI버블 논란이 한풀 꺾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의 회계연도 3분기 매출과 EPS는 모두 월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4분기 매출 가이던스 또한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650억 달러를 제시했다. 특히 데이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