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고용률 역대 최고…경단녀 규모·비중은 최저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1-20 16:58:0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데일리안 2025-11-20 13:36:10 oid: 119, aid: 0003027612
기사 본문

데이터처,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 고용 현황 공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국가데이터처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올해 상반기 자녀가 있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력단절여성 규모와 비중 모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40만3000명 중 취업자는 498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전년대비 1.9%포인트(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45~49세 67.9% ▲50~54세 66.5% ▲35~39세 64.7% ▲40~44세 64.5% ▲30~34세 57.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 수록 경력단절을 겪는 비율이 높았다. 전년대비 자녀수별 고용률은 자녀 1명(64.6%) 1.2%p, 자녀 2명(64.6...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6:10:07 oid: 011, aid: 0004558259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 현황 발표 경력단절여성 10명 중 4명은 육아 때문 6세 이사 자녀 둔 여성 고용률도 사상 최고 “육아·돌봄 지원정책 효과” 20일 서울 강남구 SETEC에서 열린 취업·채용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안내책자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등학생(18세) 이하 자녀를 키우면서 직장이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기혼 여성의 비중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경력단절여성의 규모 역시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아이를 낳은 뒤에도 일을 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치이다. 경력단절여성은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1-20 16:08:07 oid: 654, aid: 0000152509
기사 본문

경단 44%는 육아 때문 ▲ 2025 부산 여성 일자리 페스타/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경력 단절 비율이 약 21%로 떨어지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개선이 이어지면서 워킹맘의 일터 복귀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5000명 줄었다.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1.3%로 작년 대비 1.4%p 하락하며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말한다. 데이터처는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정부의 육아·출산 정책이 경력 단절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1-20 16:09:14 oid: 082, aid: 0001354709
기사 본문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 고용 현황’ 미성년 자녀 둔 경단녀 21%로 최저 경력단절 40%는 육아 때문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마련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에 놓인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 안내문.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1~6월)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단절을 겪은 비율이 약 21%로 나타났다. 여성 고용률이 상승 추세인 가운데 미성년 자녀가 있는 여성의 고용률, 워킹맘 비율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 여성은 88만 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 5000명 감소했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의 비율은 작년보다 1.4%포인트(P) 낮은 21.3%로,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력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자녀교육,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