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업 흔들리는 광양 ‘산업 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4일 포스코그룹노동조합연대가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철강 산업 지원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부는 철강 산업의 현저한 악화가 우려된다고 판단하고 전남 광양시를 20일부터 2년간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한다고 이날 공고했다. 전라남도는 지난달 1일 광양시에 대해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부 등 관련 부처들이 참여하는 ‘산업 위기 대응 심의위원회’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 산업에 의존하는 광양시가 최근 저가 철강 수입재 확대,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산업 전반이 크게 위축된 상태라고 판단했다. 이번 지정으로 광양시 지역은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를 받게 되고,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도 강화된다. 정책금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에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서는 협력업체와 소상공인 우대 보증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기업 대출 금리를 낮춰...
기사 본문
광양제철소에 철강을 실은 화물 차량이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철강산업 침체가 심화하면서 ‘철강 도시’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인한 수출 급감, 내수 둔화, 전 세계적인 공급 과잉 등 ‘삼중고’가 겹치며 지역경제의 80% 이상을 떠받쳐온 철강 생태계가 흔들리자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열고 이날부터 2027년 11월 19일까지 2년간 광양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은 지역 주력산업의 급격한 침체가 예상될 때 정부가 사전에 지정해 금융·세제·고용 등 종합 지원을 투입하는 ‘예방형 산업위기지역 제도’다. 철강산업이 기반인 지역을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건 지난 8월 포항에 이어 2번째다. 석유화학 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남 여수(5월), 충남 서산(8월)도 선제대응지역으로 올해 지정됐다. 광양이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데에는 지역경제가 철강 중심으...
기사 본문
여수·서산·포항 이어 4번째 지정 광양시, 생산 89%·고용 10% 철강 의존 광양 재정자립도 2000년대 들어 최저치 "지역 철강 산업 현저한 악화 우려" 20일 찾은 전남 광양시 광양산업단지 거리가 그 흔하다는 코일 실은 트레일러도 쉽게 찾기도 힘들었다. 광양=박지훈 기자 [서울경제] “당장 생산 라인이 멈춘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불안해합니다. 당장 이번 겨울이 고비라는 말이 공장 안팎에서 공공연하게 나옵니다”(포스코 협력업체 직원) 중국발 공급 과잉, 미국발 50% 품목관세, 국내 건설 경기 침체 등 국내 철강 산업이 전례 없는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정부가 전라남도 광양시를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했다. 철강 산업을 주축으로 성장해오던 지역 경제도 고꾸라졌기 때문이다. 산업계 안팎에서는 위기에 빠진 석유화학·철강 산업 재편 및 관련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전남 광양시를 이날부터 2027년 11월 1...
기사 본문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2025.8.2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스1 철강산업 침체로 어려움에 처한 전남 광양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각종 지원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전남 광양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지정 기간은 이날부터 2027년 11월19일까지 2년간이다. 주요 철강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광양시는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의 철강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한 철강산업 침체로 지역경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광양시는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