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금산분리 근본정신 훼손 없는 범위에서 적극 협의"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4개
수집 시간: 2025-11-20 16:35:3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1-19 16:02:49 oid: 001, aid: 0015751914
기사 본문

"'금산분리 완화' 단계까지는 아냐" 기자들 질문에 답하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있다. 2025.11.19 scoop@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송정은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최근 재계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금산분리 규제완화' 요구와 관련해 "금산분리의 근본적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 기자 간담회를 하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정부가 못하는 부분에 대규모 자본조달이 꼭 필요하다면 어떤 방법과 범위로 할지 관계부처와 협의해 적극적으로 하려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산분리는 대기업 등 산업자본이 금융기관 지분을 일정 기준 이상 보유하지 못하도록 해 금융회사의 사금고화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다. 재계는 이 규제가 신산업 분야 투자에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20 16:01:00 oid: 008, aid: 0005281058
기사 본문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국가보훈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뉴스1 "우리 반도체 기업들은 수십조원을 벌지만, 투자금도 천문학적이다. 자금 조달 숨통을 트기 위해 금산분리 완화 논의가 필요하다."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유튜브 '삼프로TV' "세계 경제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산분리 원칙이 갖는 위험 전이현상·독과점 폐해 방지는 아직도 유효하다." -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국회 국정감사 대통령실과 정부 모두 AI(인공지능) 등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에 한해 금산분리 규제를 일부 완화할 수 있다는 데는 공감한다. 그러나 수위와 속도, 적용 방식에서는 분명한 온도차가 드러난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금산분리 완화 가능성을 직접 언급한 뒤 공정위 수장이 "우리나라 대기업은 투자회사 설립이 아니라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고 발언하면서 조율이 어긋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산분리 완화 논의는...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20 05:02:17 oid: 028, aid: 0002777345
기사 본문

주병기 위원장 “독점 부작용 최소화할 신중 접근 필요”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경제계가 반도체·인공지능(AI) 등의 대규모 투자를 위해 ‘금산분리’ 규제 완화를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주무부처 수장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우리나라 대기업은 투자회사 설립이 아니라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위원장은 19일 한겨레와 한 전화 통화에서 “국내 대기업이 본업에 충실한 투자를 하지 못하는 이유가 금산분리 규제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금산분리란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이 서로를 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경제 정책의 원칙이다. 재계는 산업자본으로 분류되는 에스케이(SK)그룹 등 대기업 그룹 지주회사 산하에 금융 펀드를 굴릴 수 있는 투자회사(GP) 설립을 허용해 자금 조달의 물꼬를 열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일 챗지피티(GPT) 개발업체인 오픈에이아이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20 16:00:00 oid: 008, aid: 0005281056
기사 본문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애 답변을 하고 있다. AI(인공지능)와 반도체 패권 경쟁이 격화하면서 대규모 투자자금 확보 수단으로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결합 금지)' 완화 논의가 다시 부상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대통령실과 정부내 부처간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된다. 대통령실은 AI 등 첨단산업에 한해 대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한 금산분리 필요성을 언급한 반면 정부는 다소 신중한 입장이다.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우선 활용한 뒤 자금 여력이 부족할 경우에만 CVC(기업형 벤처캐피탈) 규제 완화를 '최후의 선택지'로 검토하겠다는 게 정부 생각이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기업 투자가 막히는 원인이 금산분리에 있다는 주장에 선을 그었다. 그는 "우리나라 대기업은 투자회사 설립이 아니라 본업에 충실해야 한다"며 "다른 자금 조달 방법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독점화의 부작용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