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고용률 역대 최고…영유아 엄마 3명 중 1명 경력단절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경력단절 지원사업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을 겪은 비율이 약 21%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지속 하락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여전히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오늘(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 5천 명으로 작년보다 8만 5천 명 감소했습니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21.3%입니다. 작년보다 1.4%포인트(p) 낮아지며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의미합니다.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고 고용률 상승을 여성이 주도하는 흐름, 정부의...
기사 본문
미성년 자녀 둔 기혼여성 경력단절 21%로 최저…경단 44%는 육아 때문 경력단절 지원사업 (서울=연합뉴스) =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마련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에 놓인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 안내문. 2024.1.10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을 겪은 비율이 약 21%로 나타났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지속 하락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여전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성 고용률이 상승 추세인 가운데 미성년 자녀가 있는 여성의 고용률, 워킹맘 비율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천명으로 작년보다 8만5천명 감소했다....
기사 본문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미성년 자녀 둔 기혼여성 경력 단절 21%로 최저 일 그만둔 여성 10명 중 4명은 육아 때문 지난해 10월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마련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에 놓인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 안내문 ⓒ연합뉴스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올 상반기 미성년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을 겪은 비율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경력 단절의 비율이 높은 경향은 여전했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5000명 감소했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말한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기사 본문
경단 44%는 육아 때문 ▲ 2025 부산 여성 일자리 페스타/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경력 단절 비율이 약 21%로 떨어지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개선이 이어지면서 워킹맘의 일터 복귀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5000명 줄었다.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1.3%로 작년 대비 1.4%p 하락하며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말한다. 데이터처는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정부의 육아·출산 정책이 경력 단절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