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한달’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다시 확대…한강벨트 강세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4개
수집 시간: 2025-11-20 15:57:2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겨레 2025-11-20 15:18:10 oid: 028, aid: 0002777456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동향 서울 송파구 잠실일대 아파트 단지.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상승세가 둔화했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한달 만에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선호지역 중심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이뤄진 영향으로 보인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을 보면, 11월 셋째 주(11월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서울의 주간 변동률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같은 달 넷째 주(10월27일 기준) 0.23%,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0.19%에 이어 직전 주에는 0.17%까지 축소 흐름을 이어갔으나 4주 만에 다시 확대된 것이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20 15:17:14 oid: 422, aid: 0000803751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제공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지 한 달 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오늘(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0% 올랐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 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같은 달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0.23%, 11월 첫째 주(11월 3일 기준) 0.19%에 이어 직전 주에는 0.17%까지 축소 흐름을 이어가다가 4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금지와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는 위축됐지만, 수도권 공급 부족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데다 집값이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여전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0 15:35:26 oid: 003, aid: 0013612533
기사 본문

KB부동산 11월 셋째 주 아파트 동향 서울 0.23%…송파·용산도 오름폭 조정 서울 전셋값 0.14% 40주 연속 상승세 [서울=뉴시스]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그래픽=KB부동산 제공) 2025.11.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10·15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이 나온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연속 줄고 매수 심리도 주춤하는 등 부동산시장이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양상이다. 20일 KB부동산 11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17일 기준)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7% 오르며 12주 연속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42주 연속 상승했지만 오름폭은 0.03%포인트(p) 감소했다. 9월22일 0.34%→9월29일 0.43%→10월13일 0.68%→10월20일 0.66%→10월27일 0.49%→11월3일 0.30%→11월10...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20 14:55:18 oid: 277, aid: 0005682347
기사 본문

정주여건 우수지역 중심 상승폭 확대 한강벨트 중심 상승폭 직전주보다 늘어 경기 의왕 4년만에 최대 상승 전세도 3주 연속 상승, 수도권 강세 지속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한동안 가격 상승세 둔화가 관측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4주 만에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와 2년 실거주 의무로 거래는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한 상황에서 선호 지역 중심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이뤄지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0.17%) 대비 상승폭을 확대한 0.2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률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한 뒤 연속으로 축소되다가 4주 만에 다시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