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 만에 확대...강남 3구·용산구 모두 반등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3주 연속 축소됐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4주 만에 다시 커졌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 전보다 0.20% 오르며 상승 폭이 0.03%p 커졌습니다. 송파구가 0.53% 오르며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성동구가 0.43%, 용산구가 0.38% 오르는 등 강남 3구를 비롯해 15개 자치구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단지와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경기 지역 아파트값은 0.11% 상승하며 지난주보다 상승 폭이 0.01%p 커졌는데 성남 분당구가 0.47%, 용인 수지구가 0.42% 오르며 상승 폭이 컸습니다. 지방 아파트값도 0.02% 상승하며 지난주보다 상승 폭이 커진 가운데 전국 아파트값도 0.07%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제공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지 한 달 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오늘(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0% 올랐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 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같은 달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0.23%, 11월 첫째 주(11월 3일 기준) 0.19%에 이어 직전 주에는 0.17%까지 축소 흐름을 이어가다가 4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금지와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는 위축됐지만, 수도권 공급 부족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데다 집값이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여전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
기사 본문
정주여건 우수지역 중심 상승폭 확대 한강벨트 중심 상승폭 직전주보다 늘어 경기 의왕 4년만에 최대 상승 전세도 3주 연속 상승, 수도권 강세 지속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한동안 가격 상승세 둔화가 관측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4주 만에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와 2년 실거주 의무로 거래는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한 상황에서 선호 지역 중심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이뤄지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0.17%) 대비 상승폭을 확대한 0.2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률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한 뒤 연속으로 축소되다가 4주 만에 다시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
기사 본문
의왕·성남 수정·광명 등 경기권 규제지역도 일부 오름폭 커져 거래 위축에도 소수 신고가 거래가 가격 끌어올린 듯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한동안 가격 상승세 둔화가 관측된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2년 실거주 의무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한 상황에서 선호지역 중심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이뤄지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상승률은 1주 단위 기준으로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같은 달 넷째 주(10월27일 기준) 0.23%,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0.19%에 이어 직전 주에는 0.17%까지 ...
기사 본문
10월 셋째 주 0.50% 이후 감소세 지속하다 재반등 매수 관망세 속 선호 단지 위주 상승거래 체결 영향 송파 0.53%-성동 0.43%-용산 0.38% 자치구 ‘톱 3’ 전세값 3주째 0.15%로 동일...인천·경기 상승 폭 커져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데일리안 = 이홍석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상승세가 둔화되던 서울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 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등 삼중 조치에 대출 규제 강화, 2년 실거주 의무기간 부여 등 각종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며 거래량 자체는 줄었지만 선호지역 및 단지를 중심으로 일부 상승 거래가 이뤄진 영향으로 보인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직전 주 0.17%에 비해 0.03%포인트(p) 늘...
기사 본문
KB부동산 11월 셋째 주 아파트 동향 서울 0.23%…송파·용산도 오름폭 조정 서울 전셋값 0.14% 40주 연속 상승세 [서울=뉴시스]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그래픽=KB부동산 제공) 2025.11.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10·15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이 나온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연속 줄고 매수 심리도 주춤하는 등 부동산시장이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양상이다. 20일 KB부동산 11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17일 기준)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7% 오르며 12주 연속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42주 연속 상승했지만 오름폭은 0.03%포인트(p) 감소했다. 9월22일 0.34%→9월29일 0.43%→10월13일 0.68%→10월20일 0.66%→10월27일 0.49%→11월3일 0.30%→11월10...
기사 본문
지난 17일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들. 문재원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 오름 폭이 최근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3구와 용산구 등 오름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다만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주간 단위 상승 흐름이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11월 셋째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간 0.20% 올랐다. 이는 전주 대비 0.03%포인트 커진 수치다. 10·15 대책 발표 직전 주당 평균 0.27% 수준이던 서울 아파트값 주간 변동률은 대책 발표가 있었던 10월 셋째주 0.50%에 달했다가 대책 발표 이후 매주 축소되는 추세였으나, 이주에 다시 확대됐다. 서울 뿐만 아니라 경기 지역도 아파트값 주간 변동률이 0.11%로 전주(0.10%)보다 커졌다. 전체 자치구가 규제지역(조정대상지...
기사 본문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월세·매매 안내문들이 붙어있다. photo 뉴스1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다시 살아났다. 강남 3구와 용산, 성동 등 이른바 '핵심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되살아나며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17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0.06%에서 0.07%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0.17%에서 0.20%로, 수도권은 0.11%에서 0.13%로 상승폭이 넓어졌고 지방도 0.02%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전반적으로 매수 문의는 줄고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재건축 추진 단지나 정주 여건이 좋은 선호 단지 중심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며 서울 전체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42주 연속 오름세다. 이번 주에는 특히 강남 3구와 용산 등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중심으로 상승률이 크게 높아졌다. 강남구는 지난주보다 0.24% 상승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