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국 금융위 상임위원 "스테이블코인 외환·자금세탁 위험 우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FSB서 각국 스테이블코인 현황 논의…취약점 주시 필요성 안창국 "국가 간 제도 차이로 인한 '규제 차익' 방지해야"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모습. 2025.9.8/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스테이블코인의 국경 간 거래, 온오프라인 결제 등 활용이 확산하고 있어 외환부문, 자금세탁 위험 등 관련한 우려가 제기된다"며 "금융안정 측면에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 간 제도 차이로 인한 '규제 차익' 방지를 위해 국가 간 협력도 당부했다. 안 상임위원은 지난 18~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 총회(FSB)'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FSB는 G7을 주축으로 설립된 금융안정포럼을 전신으로 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G20이 참여하는 형태로 확대·개편됐다. FSB는 국제기준 및 정책 권고안 개발, 국제기준 이행점검 및 국가 간 협력 강...
기사 본문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제공=연합뉴스)] 금융안정위원회 총회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취약점, 규제 및 감독 현대화, 비은행금융중개 권고안 후속작업 등이 논의됐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안창국 상임위원이 지난 18~19일(현지시간) 이틀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금융안정위원회 총회(FSB plenary) 및 EMDEs(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y) 포럼에 참석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금융안전성 전망 ▲스테이블코인 현황 ▲규제·감독 현대화 ▲FSB 위기상황 대비 활동 ▲비은행금융중개(NBFI) ▲국경간 결제 ▲보험 분야 ▲FSB 2026년 업무계획 등이 논의됐습니다. 회원국들은 지난 4월 미국의 관세부과 발표 이후 갑작스러운 시장 변동성 확대는 대체로 안정화됐지만 여전히 경제전망의 불확실성과 잠재된 취약성이 존재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주요 취약점으로 ▲자산가격의 과도한 상승 ▲높은 수준의 국가부채 ▲사이버공격 등에 따...
기사 본문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 2026년 규제·감독 현대화 스테이블코인, NBFI 논의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18~19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해 스테이블코인 활성화에 따른 우려를 표했다. G2O 금융당국 관계자가 참석한 이번 FSB 총회는 △금융안전성 전망 △스테이블코인 현황 △규제·감독 현대화 △FSB 위기상황 대비 활동 △비은행금융중개(NBFI) △국경간 결제 등을 논의했다. 금융안정위원회(FSB)의 전신은 G7을 주축으로 설립된 금융안정포럼(FSF)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과정에서 G20이 참여하는 FSB로 확대·개편됐다. G20 회원국의 재무부・감독당국・중앙은행 등이 참여한다. 한국에서는 금융위와 한국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자산 가격 과도한 상승 취약" FSB 회원국들은 지난 4월 미국 관세부과 발표 이후 갑작스러운 시장 변동성 확대는 대체로 안정...
기사 본문
FSB, 글로벌 금융불안·스테이블코인·NBFI 등 핵심 리스크 점검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18~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와 신흥국·개발도상국(EMDEs) 포럼에 참석해 주요 글로벌 금융 현안을 논의했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18~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와 신흥국·개발도상국(EMDEs) 포럼에 참석해 주요 글로벌 금융 현안을 논의했다. FSB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기준 개발과 금융규제 개혁을 주도해온 국제 협의체로, G20 국가의 재무당국·중앙은행·감독기구가 참여한다. 한국은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이 회원으로 활동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금융안정성 전망 ▲스테이블코인 현황 ▲규제·감독체계 현대화 ▲FSB 위기 상황 대비 활동 ▲비은행금융중개(NBFI) ▲국경 간 결제 ▲보험사 규제 체계 ▲FSB 2026년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