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34.8%…1위 탈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지난 10월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와 HBM3E 실물이 전시돼있다.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 4천2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매출 기준 1위를 회복했습니다.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에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했습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137억 9천만 달러의 D램 매출을 기록하며 점유율 34.4%로 2위에 올랐습니다. 삼성전자는 HBM 실적 부진으로 올해 들어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1위를 내줬습니다. 그러나 최근 HBM 사업 회...
기사 본문
2위 SK하이닉스와 점유율 0.6%p 격차 HBM 사업 정상화, D램 가격 상승 효과 삼성전자가 지난달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대전(SEDEX 2025)’에서 전시한 HBM3E와 HBM4.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D램 매출 세계 1위에 오르며 SK하이닉스에 내준 왕좌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달러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매출 기준 1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은 137억9000만달러로 집계돼 점유율 34.4%로 2위를 기록했다. 1위 삼성전자와는 0.6%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으로, 매출 89억8400만달러를 올리며 시장 점유율 22.4%를 기록했다.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
기사 본문
차이나플래시마켓 분석…"HBM 비트 출하량 증가·범용 D램 가격 상승이 견인"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천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매출 기준 1위를 회복했다. '반도체 원조' 삼성전자의 HBM4 실물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와 HBM3E 실물이 전시돼있다. 2025.10.22 hwayoung7@yna.co.kr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에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
기사 본문
사진=한국경제신문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 자리를 탈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139억42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수치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매출 기준 1위를 차지했다.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에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진단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은 137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34.4%로 2위다. 앞서 삼성전자는 HBM 실적 부진으로 올해 들어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1위를 내줬다. 하지만 최근 HBM 사업 회복과 전체 메모리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정상 자리를 되찾았다. 3위 마이크론은 올해 3분기 D램 매출 89억8400만 달러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