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면역조절 효과 규명…국제학술지에 실려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1-20 08:26:4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SBS Biz 2025-11-19 10:37:08 oid: 374, aid: 0000475678
기사 본문

[김치 면역조절 (김치연구소 제공=연합뉴스)] 세계김치연구소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가 인체 면역세포의 기능을 강화하고 균형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연구소는 김치 섭취가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방어 기능은 높이는 조절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연구는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위약, 자연발효 김치분말, 종균발효 김치분말을 각각 섭취하게 한 뒤 혈액에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를 채취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분석 결과, 김치 섭취군에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외부 침입자를 인식하고 신호를 전달하는 항원제시세포(APC, Antigen-Presenting Cells)의 기능이 강화되고, CD4+T세포가 방어 세포와 조절 세포로 균형 있게 분화되는 현상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김치가 단...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1-20 07:46:09 oid: 654, aid: 0000152460
기사 본문

세계김치연구소 연구 결과 공개 과도한 면역반응 억제·방어기능 높여 ▲ 세계김치연구소 제공 세계김치연구소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가 인체 면역세포의 기능을 강화하면서도 불필요한 과잉 반응은 억제하는 '정밀 면역조절'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소는 이번 결과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 기반으로 입증된 만큼 검증력을 갖춘 성과라고 강조했다. 연구는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위약군, 자연발효 김치분말 섭취군, 종균발효 김치분말 섭취군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참가자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뒤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분리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김치를 섭취한 두 군에서는 세균·바이러스 등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고 신호를 전달하는 항원제시세포(APC)의 활성이 뚜렷하게 높아졌다. 또 CD4+T세포가 방어 기능을 맡는 세포와 과잉 반응을 억제하는 조절 세포로 균형 있게 분화하는 양상도 관찰됐다. 단순 ...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9 14:18:16 oid: 028, aid: 0002777226
기사 본문

전세계 80여개국 진출…일본 제치고 미국 최대 수출국 떠올라 LA에 업계 최초 공장…무슬림부터 비건까지 현지화 전략 성공 대상이 지난 10월 4~8일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식품 박람회 ‘아누가(ANUGA) 2025’에 참가해 글로벌 김치 브랜드 ‘종가’를 선보여 참석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대상 제공 김치의 세계적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식과 케이(K)‑콘텐츠에 대한 해외 소비자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김치 수출액은 1억6360만달러, 한화 약 2400억원으로 집계돼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김치 수출액은 1억2549만달러를 기록 중이며, 김치 수출국은 2020년 85개국에서 2024년 95개국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국내 포장김치의 수출세는 한국 대표 포장김치 브랜드인 대상 종가가 견인하고 있다. 대상 종가 김치의 수출액은 2016년 2900만달러에서 지난...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1-19 09:22:14 oid: 030, aid: 0003371651
기사 본문

김치 섭취의 면역조절 기전 모식도.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가 인체 면역세포의 기능을 강화하고 균형을 유지한다는 사실이 임상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김치 섭취가 과도한 면역 반응은 억제하면서 동시에 방어 기능은 높이는 조절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치의 면역학적 효과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구명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김치가 대사 건강뿐 아니라 면역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다. 연구는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위약 △자연발효 김치분말 △종균발효 김치분말을 각각 섭취하게 한 뒤 혈액에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채취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첨단 기법으로 세포별 유전자 발현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기존 검사로는 놓치기 쉬운 면역 반응의 세밀한 변화를 밝혀냈다. 분석...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