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글로벌 D램 매출 1위 탈환…"HBM 출하 증가 영향"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차이나플래시마켓 조사 결과…점유율 34.8%로 1위 낸드 시장서도 독주…점유율 29.1% 삼성전자가 역대 최대 분기 매출과 함께 12조2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6조617억원, 영업이익 12조1661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8.8%, 32.5% 증가했고 매출은 사상 처음 80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2025.10.30/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올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탈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시장조사 업체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139억4200만달러(약 20조 4400억 원)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수치다. 시장점유율은 34.8%로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
기사 본문
■서종갑 기자의 갭 월드(Gap World) 삼성, 3분기 1위 탈환···SK와 0.4%P 차 접전 넘치는 수요에 양사 경쟁에도 수익성은 굳건 4분기부터 '부르는 게 값'인 슈퍼 사이클 진입 한 관람객이 삼성전자 HBM3E와 HBM4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서울경제] 삼성전자(005930) 가 올 3분기 SK하이닉스(000660) 를 제치고 메모리 반도체 왕좌를 되찾았다. 하지만 업계의 시선은 단순한 순위 변동보다 양사 실적에 미칠 막대한 ‘낙수 효과’에 쏠려 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발 주문 폭주로 메모리 품귀 현상이 심화하며 4분기부터는 가격이 그야말로 ‘부르는 게 값’인 슈퍼 사이클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0.4%포인트 차 초박빙 승부를 벌이는 두 기업 모두 역대급 실적 잔치를 벌일 판이 깔렸다는 분석이다. 20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9.6% 늘어난 139억 4200만 달러(약 20조 4000억 ...
기사 본문
사진=연합뉴스 KB증권은 20일 SK하이닉스에 대해 "1995년 인터넷 확산기 이후 30년 만에 도래한 메모리 반도체 호황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73만원에서 87만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 증권사 김동원 리서치본부장은 "오는 2027년까지 D램 시장이 공급자 우위로 재편되면서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범용 D램의 가격 협상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향후 메모리 가격 상승의 직접 수혜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부터 2027년까지 메모리 공급의 단기 증가가 어려운 상태에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가동이 2028년 상반기로 예정돼 있다"며 "향후 2년간 공급 부족 심화에 따라 SK하이닉스는 2027년까지 전년 대비 높은 영업이익 증가율(올해 84%·내년 89%)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현재 D램 수요는 공급을 3배 이상 초과하고 있다고 김 본부장은 분석했다. 그는 "그럼에도 HBM4 중심의 생산능력 확대와 공...
기사 본문
차이나플래시마켓 분석…"HBM 비트 출하량 증가·범용 D램 가격 상승이 견인"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천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매출 기준 1위를 회복했다. '반도체 원조' 삼성전자의 HBM4 실물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와 HBM3E 실물이 전시돼있다. 2025.10.22 hwayoung7@yna.co.kr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에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
기사 본문
[허인회 기자 underdog@sisajournal.com] 2분기 만에 SK하이닉스 따돌리고 왕좌 탈환 "메모리 시장, 4분기 사상 최고치 기록 전망"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올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 달러(약 20조4100억원)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매출 기준 1위를 차지했다.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bit)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에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압도적인 HBM 점유율을 기록한 SK하이닉스에게 '글로벌 D램 1위' 자리를 내준 바 있다. 33년 만의 일이었다. 2분기 역시 상황은 같았다. 하지만 하반...
기사 본문
점유율 삼성 34.8%·SK 34.4% 범용 메모리값 급등, 실적 개선 한 관람객이 삼성전자 부스에서 HBM3E와 HBM4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서울경제] 삼성전자(005930) 가 올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 자리를 되찾았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와 범용 제품 가격 상승이 맞물리며 사상 최대 매출을 견인한 덕분이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보다 29.6% 늘어난 139억 4200만 달러(약 20조 4000억 원)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은 34.8%를 기록하며 선두 자리에 복귀했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HBM 시장에서의 일시적 부진으로 1위 자리를 내줬다. 하반기 들어 사업 회복세를 보이며 정상 궤도에 진입했다. SK하이닉스(000660) 는 같은 기간 137억 9000만 달러(약 20조 2000억 원) 매출을 올리며 점유율 34.4%로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
기사 본문
시장조사업체 CFM 집계 삼성 점유율 34.8% 기록 SK하이닉스는 34.4% 전체 D램 400억3700만달러 AI 슈퍼 호황에 역대 최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4 공장. 임형택 기자 삼성전자가 올 3분기에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 자리에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3분기 D램 시장 점유율 34.8%를 기록, SK하이닉스(34.4%)를 0.4%포인트(p) 차이로 앞섰다. 올해 1분기 D램 세계 1위를 SK하이닉스에 내준 삼성전자가 2분기 만에 탈환한 것이다. 삼성전자의 1위 탈환엔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확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올 3분기 삼성전자의 HBM의 비트(bit) 단위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범용 D램 가격 상승까지 겹쳐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은 139억4200만달러를 기록, 분기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SK하이닉스는 ...
기사 본문
3분기 세계시장 점유율 34.8% SK하이닉스 제치고 1위 재등극 삼성전자가 올해 3·4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를 제치고 1위 자리를 탈환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큰 손인 엔비디아에 HBM3E(5세대) 12단 제품 납품을 시작한 데 이어, 범용 D램 가격 상승까지 이어지며 '메모리 왕좌' 회복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4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34.8%로, SK하이닉스(34.4%)를 소폭 앞서며 매출 기준 1위를 회복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분기 SK하이닉스에 D램 선두 자리를 내줬지만, 두개 분기 만에 다시 정상에 올랐다.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137억9000만달러의 D램 매출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12.4% 성장했다. 마이크론은 22.4%의 점유율로 3위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3·4분기 D램 매출은 139억4200만달러(약 20조4000억원)로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