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팀장도, 대리·사원도 "정년 연장 찬성"…이유는 '이것' 때문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3개
수집 시간: 2025-11-20 07:2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시아경제 2025-11-19 13:24:28 oid: 277, aid: 0005681636
기사 본문

20·30 직장인도 10명 중 7명이 찬성 노후 불안·연금 공백이 가장 큰 이유 20·30대 젊은 직장인까지 정년 연장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령층뿐 아니라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청년층에서도 경제적 불안이 주요 이유로 나타났다. 시니어 일자리 박람회에서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펴보는 시니어 구직자들의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는 직장인 1037명을 대상으로 '정년 연장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4%가 "정년이 연장돼야 한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년 연장 찬성률은 연령대별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60대(80.8%)와 50대(77.9%)에서 특히 높았지만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10명 중 7명이 찬성해 세대 전반이 정년 연장에 대해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적인 정년을 묻는 항목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60.2%가 만 63∼65세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정년 연장을 원하는 가장...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0 06:30:01 oid: 001, aid: 0015752601
기사 본문

65세로 정년 연장 방안이 다수…사업주에 정년연장·계속고용 선택권 법안도 정년연장 시 임금피크제 존폐도 쟁점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11월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최근 정년 연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양대 노총은 지난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5세 정년 연장의 연내 입법을 강력히 촉구했다. 법정 정년(60세)과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사이 최대 5년의 무연금 기간으로 인한 고령자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이 총선과 대선에서 공약한 정년 연장을 즉각 입법화하라는 것이다. 반면 재계는 충분한 논의나 보완책 없이 법정 정년이 연장되면 투자와 고용 위축 등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하며, 일률적 정년 연장 대신 퇴직 후 재고용과 임금체계...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9 10:11:10 oid: 079, aid: 0004087467
기사 본문

<이정희 민주노총 정책실장> 국민연금 소득공백·생산가능인구 감소 대비해야 15% 좋은 일자리, 85% 질 나쁜 일자리 미스매칭 영역에 따라 생산성 고려한 임금 조정도 필요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 정년연장 혜택은 극소수, 청년 일자리 영향은? 임금 높은 고령층 정년 연장, 청년고용 뒷전 우려 연내 65세 연장 빠른 추진, 합리적인 논의 필요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1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정희(민주노총 정책실장), 김설(청년유니온 위원장) ◇ 김현정>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수명이 늘면서 정년퇴직 후에도 상당히 오랜 시간 우리 생존을 하죠. 그렇기 때문에 아직 충분히 더 일할 수 있는 숙련된 인력들을 60세 이후에도 활용해야 되는 거 아니냐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년 연장 법제화를 서둘러 달라는 노동계 요구에 대해서 여당은 법정 정년을 현행 60...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20 06:03:22 oid: 022, aid: 0004084054
기사 본문

상의, 국힘 대표 만나 우려 전달 인건비 부담·안전 등 어려움 토로 사회 합의 통한 대안 필요 공감대 위기산업 지원·稅공제 등도 건의 中企 86% “선별적 재고용 바람직” “임금·고용 유연한 정책 마련해야” 이재명정부 국정과제인 ‘65세 정년 연장’에 여권이 입법 드라이브를 걸면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재계는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나 정년 연장 법제화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이 아닌 선별적 재고용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국민의힘-대한상공회의소 정책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9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국민의힘과 정책 간담회를 열고 “앞서가는 퍼스트 무버(선도자)들도 전례 없는 방식과 규모로 미래를 준비하는데 대한민국은 어떤 성장 전략을 무기로 이 정글 같은 시장을 돌파할지 고민이 앞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