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창구서 타행 계좌조회·이체 가능…"디지털금융소외계층 불편 해소"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2개
수집 시간: 2025-11-20 06:26:2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세일보 2025-11-19 13:23:13 oid: 123, aid: 0002372245
기사 본문

금융위,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오프라인 확장...19일부터 시행 타행 계좌 거래 등을 위해 여러 금융사 직접 방문 불편 해소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 영업점에 방문해 시중은행·지방은행과 함께 웹·모바일 등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은행 영업점에서도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실시 상황을 점검했다.[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앞으로 은행 영업점에서 다른 은행 계좌를 조회하거나 이체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등 디지털금융소외계층은 물론 주거래은행 영업점이 폐쇄된 지역 주민들의 금융 접근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는 19일부터 온라인에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금융서비스 제공 채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 영업점을 찾아 오프라인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시연에 ...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1-19 10:44:10 oid: 030, aid: 0003371720
기사 본문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앞줄 오른쪽)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 영업점에 방문해 시중은행·지방은행과 함께 웹·모바일 등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은행 영업점에서도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실시 상황을 점검했다. 사진제공=금융위 그동안 온라인으로만 가능했던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제 은행 창구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19일부터 웹·모바일 등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에서 이용하도록 채널을 확대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조치로 고령층 등 디지털취약계층은 하나의 은행 창구에서 여러 은행 계좌를 조회하고 이체할 수 있다. 은행 영업점이 폐쇄된 지역 거주자도 근처 다른 은행 창구에서 주거래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이 서툰 고령층도 창구 직원 안내로 모든 금융계좌를 통합 조회하고 맞춤형 상품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오픈뱅킹은 2019년 12월 금융혁신 촉진을 위해...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19 15:28:19 oid: 629, aid: 0000445401
기사 본문

오픈뱅킹·마이데이터서비스 오프라인으로 확대 디지털금융취약계층 편의성 제고 온라인에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가 19일부터 오프라인으로 확대된다. /뉴시스 [더팩트ㅣ조성은 기자] 온라인에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앞으로는 은행 영업점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고령층·디지털취약계층, 영업점 폐쇄 지역 주민의 금융 접근성이 대폭 높아질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부터 전국 은행 창구에서 타행 계좌 조회·이체와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제도를 전면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서울 중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를 방문해 현장 운영 상황을 점검하며 "모든 국민이 동일한 금융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포용적 금융 인프라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11개 은행(농협·신한·우리·기업·국민·하나·아이엠·부산·광주·전북·경남)에서 오픈뱅킹을, 8개 은행(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광주·전북·기업)에서 마이데이터...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19 11:46:09 oid: 088, aid: 0000982144
기사 본문

11개 은행서 타행 계좌 조회·이체 가능...'점포 소멸' 지역 숨통 고령층 자산관리 격전지 될 듯...과당경쟁 방지는 숙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를 찾아 오프라인 서비스 시연을 점검했다. 금융위 스마트폰 뱅킹 앱 사용이 서툰 70대 A씨는 그동안 예금 이자 확인이나 송금을 위해 하루에도 두세 군데 은행을 직접 돌아다녀야 했다. 집 근처 주거래 은행 지점이 폐쇄된 50대 B씨는 간단한 이체 업무를 위해 버스를 타고 시내로 나가는 불편을 겪어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신분증 하나만 들고 가까운 은행 아무 곳이나 방문하면, 흩어진 내 돈을 한눈에 보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19일부터 그동안 웹·모바일 등 온라인에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은행 영업점 등 오프라인 채널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전환이라는 미명 아래 가속화되던 점포 폐쇄로 인해 금융 사각지대에 놓였던 고령층과 지방 거주자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