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회사선 등기임원, 규제 회사선 미등기임원…총수 일가 두 얼굴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대기업 총수 일가가 주력회사에서는 등기이사로 전면에 나서지만, 사익편취 규제 대상 회사에서는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사례가 늘어난 거로 나타났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을 오늘(19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자산 총액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92개 중 86개 집단 소속 2,994개 소속 회사가 분석 대상으로 분석 기간은 지난해 5월부터 지난 5월까지입니다.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 2천844개 중 총수 일가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98개사(7.0%)로, 비율이 전년보다 1.1%포인트(p) 늘었습니다. 상장사 중 총수 일가가 미등기 임원인 경우는 29.4%로 전년보다 6.3%p나 증가했는데, 비상장사(3.9%)의 7배 수준입니다. 총수 일가 미등기임원 직위 259개 중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가 141개(54.4%)로 절반 이상이었습니다. 지난해(220개 중 11...
기사 본문
공정위, 총수 있는 2844곳 분석 1년새 6%P 증가, 비상장사의 7배 “사외이사 적을수록 독립성 떨어져” 총수가 있는 대기업 상장사 10곳 중 3곳은 총수 일가가 법적 책임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을 발표했다. 올해 자산 총액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92개 중 신규 지정(5개)과 농협을 제외한 86개 집단 소속 2994개 소속회사가 분석 대상이다.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 소속회사 2844곳 중 총수 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98곳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7.0%로 1년 전보다 비율이 1.1%포인트 늘었다. 특히 총수 일가가 미등기임원인 상장사 비율은 1년 전보다 6.3%포인트 늘어난 29.4%로 비상장사(3.9%)의 7.5배에 달했다. 총수 일가의 미등기임원 재직 비율은 하이트진로가 58.3%(12개...
기사 본문
공정위,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총수일가 이사 등재 회사 518개사…총수일가 이사 704명 상장사 사외이사 비율 51.3%…비상장사 4.4% 공정거래위원회.ⓒ연합뉴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올해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상장사의 비율이 전년 대비 6.3%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공개했다. 올해 분석대상은 공시집단 92개 중 신규지정 5개 및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농협’을 제외한 86개 집단 소속 2994개 소속회사다. 총수일가 등재 회사 18.2%…77개 집단 미등기임원 재직 총수 있는 77개 집단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518개사)의 비율은 18.2%, 총수일가가 이사인 경우(704명)는 전체 등기이사 수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집단 내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2021년 5.6%에서 올해 ...
기사 본문
상장사 30%로 치솟아…비상장사의 7배 달해 주력사엔 등기이사·규제사엔 미등기로 이중전략 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공정거래위원회. 뉴시스 대기업 총수일가가 주력회사에서는 등기이사로 전면에 나서지만,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에서는 미등기임원으로 활동하는 비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겉으로는 책임경영 강화 모습이지만, 감시 사각지대에서는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이중전략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9일 발표한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77개 기업집단 2844개 소속회사 중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98개사(7.0%)로 전년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상장사의 경우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비율이 29.4%로 전년(23.1%) 대비 6.3%포인트나 급증해 비상장사(3.9%)의 7배가 넘는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 분석 이후 최고치다. 분석 결과 총수일가는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주력 상장사에는 등기이사...
기사 본문
대기업집단 총수일가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닌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사례가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중 절반 이상의 회사가 사익편취 규제 대상으로 조사되면서 감시 사각지대에서는 사익 편취를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을 오늘(19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자산 총액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92개 중 86개 집단 소속 2천994개 소속회사가 분석 대상입니다. 올해 신규 지정 5개와 특별법으로 설립된 농협은 제외됐고 분석 기간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5월까지입니다. 총수일가 미등기 임원 상장사 29.4%로 급증…비상장사의 7배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 2천844개 중 총수일가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98개사(7.0%)로, 비율이 전년보다 1.1%포인트(p) 늘었습니다. 하이트진로가 58.3%(12개 중 7개)로 가장...
기사 본문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회사, 전체의 7%…사익편취 규제대상 54% 총수일가 이사등재 회사는 518개사…전년比 50개사↑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자료사진)2024.11.12/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에서 총수 일가가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채 미등기임원으로만 활동하는 회사가 198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적 권한은 행사하면서도 법적 책임에서는 비교적 비켜서는 관행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공시대상기업집단 86개 소속 2994개 계열회사(상장·비상장)다. 분석 대상 회사 중 총수 일가가 1명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518개 사(18.2%)로 전년(17.0%) 대비 1.2%포인트(p), 50곳 증가했다. 분석 대상 회사의 전체 등기이사 중 총수 일...
기사 본문
공정위,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공개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중 54.4%, 사익편취 규제대상 이사회 '거수기' 여전…99% 이상 원안 가결 "총수일가 권한 남용하는지 면밀 감시 필요" [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대기업 총수일가가 계열사에서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과반수가 총수일가 지분이 20% 이상인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소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 92개 중 신규 지정 집단 5개와 특별법으로 설립된 농협을 제외한 86개(총수 있는 기업집단 77개, 총수 없는 기업집단 9개) 집단 소속 2994개 계열회사가 분석 대상이다. 등기부등본에 등재되지 않은 임원(미등기임원) 현황을 살펴보면,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에서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기사 본문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공개 상장사 미등기임원 재직 23.1→29.4% 상승 사외이사 과반이지만…안건 99% '원안 가결' 총수 있는 회사, 보상·감사위원회 설치 부족 집중투표제 3년간 1회 실시…"활성화 필요"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2019.09.05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최근 개정된 상법이 이사의 충실의무 규정을 대폭 강화한 가운데, 총수 일가의 미등기임원 재직이 약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적 책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미등기임원 형태로 총수 일가의 경영 개입이 확대되면서 권한과 책임의 괴리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같은 내용의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공개했다. 분석 결과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에서 총수 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 비율은 전년 5.9%에서 올해 7.0%로 증가했다. 특히 상장사에서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