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대외채권 1.1조달러 돌파… 해외 채권 투자·외화예금 증가 영향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대외채권 1조1199억달러로 역대 최대 기획재정부 우리나라의 대외채권이 사상 처음으로 1조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에 따르면 3분기 대외채권은 1조1199억달러로 2분기(1조928억달러) 대비 271억 달러(2.42%) 증가했다. 국내 거주자의 해외 채권 투자와 외화 예치금이 늘어난 영향이다. 대외채권은 올해 들어 1분기 1조513억 달러, 2분기 1조928억 달러로 증가세를 보이다 3분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외채무는 7381억달러로 2분기(7356억달러) 대비 25억달러(0.34%) 늘었다. 외국인의 회사채 투자 등 기타부문(비은행권·공공·민간기업)에서 90억달러 증가했으나, 정부(-32억달러), 중앙은행(-12억달러), 은행(-21억달러) 부문은 감소했다. 만기별로는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가 1616억달러로 54억달러 줄었고,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5765억달러로 79억달러 증가했다. 기재부는...
기사 본문
2분기 대비 1158억달러 증가 증권투자도 890억달러 늘어 한국인의 대외 금융 자산이 해외주식 투자 증가에 따라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한국은행은 대외 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 달러 수요 증가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을 우려했다. 한은이 19일 내놓은 국제 투자 대조표를 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대외 금융 자산은 2조7976억 달러(약 4099조원)로 집계됐다. 2분기 말(2조6818억 달러) 대비 1158억 달러 많은 사상 최대 규모다. 대외 금융 자산 중 증권 투자(1조2140억 달러)가 한 분기 동안 890억 달러 증가해 마찬가지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학개미’ 등의 해외주식 투자가 그만큼 늘었다는 뜻이다. 직접 투자(8135억 달러)도 2차 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87억 달러 증가해 역대 1위였다. 이 기간 한국의 대외 금융 부채(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1조7414억 달러로 한 분기 동안 900억 달러 증가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주...
기사 본문
미 증시 강세 따른 해외 증권투자 확대·준비자산 증가 영향 대외금융부채도 늘었지만 증가폭 작아…단기외채 비율 5년 평균 하회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종가가 표시되고 있다. 2025.11.17/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세종=뉴스1) 이강 기자 = 3분기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이 1조562억달러로 3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미국 증시 강세에 따라 해외 증권투자가 전분기 대비 890억 달러 확대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19일 공개한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 562억달러로 전 분기(1조 304억달러)대비 258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자산과 부채 모두 국내 주가 상승 등으로 증권투자 위주로 증가했으며, 특히 준비 자산이 늘면서 대외금융자산 증가 폭이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을 상회하면서 3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김민혁 한은 팀장은 "최근 순대외금융자산이 많이 증가한 것은 증권...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 순대외금융자산 1조562억 달러…258억 달러 증가 대외금융자산 2조7976억 달러…1158억 달러 늘어 대외금융부채 1조7414억 달러…900억 달러 확대 지난해 2월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10만원 돌파를 기념해 미국 나스닥타워 전광판에 게재된 축하 이미지. (사진=미래에세자산운용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우리나라의 올해 3분기 순대외금융자산이 9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국내 증시가 호조세를 보이며 외국인들이 차익을 거뒀지만, 서학개미들의 투자 확대와 고환율에 따른 환차익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한 결과다. 최근 순대외자산 증가세가 환율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562억 달러로 직전분기(1조304억 달러)대비 258억 달러 증가했다. 3...
기사 본문
3분기 대외금융자산 1천158억달러↑·증권투자 890억달러↑ 순대외금융자산 세 분기만에 반등…네 분기 연속 1조달러대 흑자 단기외채 비율 2.4%p↓…한은·정부 "대외지급능력·외채건전성 개선" 서학개미 덕에…거주자 대외금융자산·증권투자 또 역대 최대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나스닥 종합지수가 표시돼 있다. 2025.9.23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안채원 기자 = '서학개미'를 비롯한 국내 투자자(개인·기관)의 미국 등 해외 주식 투자 열기에 우리나라 거주자의 대외 금융자산과 증권투자 규모가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비거주자의 한국 투자보다 거주자의 해외 투자가 더 큰 폭으로 늘어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도 세 분기만에 증가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한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대외 금융자산·부채 현황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 본문
한국은행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 발표 순대외금융자산 1조562억달러..전분기比 258억달러↑ 대외금융자산, 대외금융부채 동반 증가..전자 폭이 커 한국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대외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2개 분기 이어진 감소세를 끊고 반등했다. 국내외 증시 모두 상승하면서 이른바 ‘서학개미’와 국내에 투자하는 ‘외국인’ 활동이 모두 가열됐으나 전자가 후자를 넘어선 결과다. ■ 해외·국내투자 동반 활성화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4분기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3·4분기 말 국내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562억달러로 집계됐다. 전분기말(1조304억달러) 대비 2.5%(258억달러)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4·4분기 1조1020억달러를 기록한 뒤 올해 1·4분기(1조840억달러), 2·4분기(1조304억달러)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이번에 반등한 셈이다. 순대외금융자산은 국가 대외지급능력을 가늠하는 지표로,...
기사 본문
한국은행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 발표 순대외금융·채권자산 3분기 만에 증가 4분기 AI 고점 논란에 증가세 꺾일 가능성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인공지능(AI) 투자 광풍과 미국 증시 랠리에 3분기 한국의 대외금융자산이 역대 최고치로 불어나면서 순대외금융자산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나스닥 급등과 원·달러 환율 급등이 겹치며 한국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채권 자산 가치가 크게 뛰어오른 영향이다. 다만 4분기 들어 AI 고점 논란과 외국인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역대 최대’ 흐름이 꺾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사진=뉴스1 순대외금융자산 증가 전환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한국의 대외금융자산은 2조 7976억달러(약 4096조원)다. 지난 2분기(2조 6818억달러) 대비 1158억달러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인의 증권 투자가 3개월 새 890억달러 증가해 기존 기록을 갈아치웠다. 증권이 아닌 직접 투...
기사 본문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나스닥 마켓사이트. /사진=성시호 기자 올해 3분기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이 3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미국 증시 호조와 해외 주식 투자 확대로 지분투자가 상당폭 증가한 영향이다. 거주자 해외증권투자 잔액은 전분기 대비 890억달러 늘었다. ━ 해외증권투자 890억 늘며 환율 상승 압력…200억달러 대미투자 영향은 ━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562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258억달러 늘었다. 국내외 주가 상승으로 자산과 부채가 모두 증권투자 위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준비자산이 늘면서 대외금융자산 증가폭이 대외금융부채 증가폭을 상회한 점이 순대외금융자산이 3분기 만에 증가 전환한 배경이 됐다. 대외금융자산(2조7976억달러)은 전분기 대비 1158억달러 늘었다. 해외직접투자와 증권투자가 모두 확대됐다. 미국 증시가 호조를 보인 데다 준비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