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證 "올해 퇴직연금 계좌 ETF 투자 1.6조 늘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증시 상승으로 ETF 관심 높아져 /사진=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들어 퇴직연금 계좌(DC와 IRP 합산)를 통한 ETF(상장지수펀드) 투자금액이 1조6359억원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3일 기준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 계좌 적립금은 11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8조4000억원에서 36.9% 증가했다. 같은 기간 ETF 투자금액은 1조7486억원에서 3조2845억원으로 약 2배(93.6%) 증가했다. 계좌 내 ETF 비중도 20.8%에서 29.4%로 8.6%포인트 상승했다. 한국투자증권은 글로벌 증시 강세와 주요국 대표지수·성장 테마형 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ETF 투자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50대 가입자층이 ETF 투자 확대를 주도했다. 퇴직연금 가입자들은 미국 S&P500·나스닥100 등 대표지수형 ETF뿐 아니라 글로벌 테크·AI(인공지능) 관련 상품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올해 들어서는 미국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으로 투자 범위가...
기사 본문
與,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속도 금융권 "원리금 보장 수요 외면" 위기 시 근로자 손실 전가될 수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여당이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금융권을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확정급여(DB)형을 가입한 근로자는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했을 때 현행(계약형) 대비 손실 가능성만 커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높은 수익률보다 원리금 보장을 중요시하는 근로자 수요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업주 파산 땐 근로자 손실 가능성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여당은 이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까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퇴직연금의 저조한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금형 퇴직연금이 급부상해서다. 더 많은 퇴직연금 자금을 주식시장으로 불어넣어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는 의중도 녹아 있다. 기금형 퇴직연금 활성화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다. 기금형 퇴직연금은 가입자 적립금을 모아 전문기관이 체계적으로 관리 운용하는 방식이...
기사 본문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을 합산한 연금자산 순증액이 전년 대비 1조 원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연금자산 전체 규모는 8조 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연금 자산의 증가는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 고객 유입과 잔고 확대가 주도했다. 퇴직연금 잔고 중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은 지난해 연말 대비 각각 18%, 38% 증가했다. 특히 1억 원 이상 잔고를 보유한 개인형퇴직연금(IRP) 고객수가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또한 저금리에 대응하는 가입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전체 투자자산 중 비원리금상품(펀드·채권) 증가율은 34%로 펀드, 채권이 각각 32%, 58%로 나타났다. 신한투자증권의 연금자산 잔고 및 가입자 증가의 배경에는 고객의 실질 수익률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한 ‘조건 없는 IRP 계좌 관리수수료 0%’ 제도와 ‘신한Premier 연금 서비스’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최...
기사 본문
적립식 자동투자·추천 포폴 등 편의 제고 효과 글로벌 증시 훈풍에 연금계좌 ETF 투자 수요↑ ⓒ한국투자증권 [데일리안 = 서진주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퇴직연금 계좌(DC·IRP)를 통한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금액이 10개월 동안 1조6359억원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8조4000억원이었던 DC·IRP 계좌 적립금은 이달 11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ETF 투자금액은 1조7486억원에서 3조3845억원으로 약 2배(93.6%) 증가했다. 이에 따라 계좌 내 ETF 비중은 20.8%에서 29.4%로 8.6%포인트 상승했다. 이 같은 ETF 직접투자 확산은 글로벌 증시 강세, 주요국 대표지수 및 성장 테마형 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서는 미국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으로 투자 범위가 넓어졌다. 중국 및 국내 시장에 투자하는 ETF가 늘었고, 차이나 테크·AI·휴머노이드뿐 아니라 국내 조선·방산·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