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일자리 2분기 연속 감소…한국 고용엔 경고등

2025년 11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5개
수집 시간: 2025-11-19 06:09:2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매일경제 2025-11-18 16:43:08 oid: 009, aid: 0005592162
기사 본문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 11만1000개 제조업 -1.3만개·건설업 -14.1만개 ‘줄줄이 하락’ 20대 이하 일자리 13.5만개 급감…제조·건설 타격 고용 버팀목은 60대 이상…복지분야 집중 지속일자리 비중 73.1%…고용의 질도 정체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열린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박람회 2025’에서 구직자들이 일자리 게시판을 보고 있다. 2025.11.18/뉴스1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제조업 일자리가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전체 일자리 증가폭 마저 둔화되고 있어, 한국경제가 일자리 창출 동력을 잃고 있다는 진단이다. 1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1만1000개 증가했다. 증가 폭은 역대 최소였던 지난 1분기(1만5000개)에 이어 2번째로 작다. 보건·사회복지업이 일부 회복했으나...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18 12:00:00 oid: 003, aid: 0013606815
기사 본문

데이터처,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2095만개로 전년 대비 11.1만개 늘어 "추세적 감소 흐름…구조적 둔화 국면" 20대 이하, 13.5만개↓…낙폭 가장 커 60대 이상은 23.5만개↑…증가폭 최고 건설업 한파에 보건복지 훈풍 영향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사진은 지난 17일 서울 시내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에 취업 안내 포스터가 붙어 있는 모습. 2025.11.17. jini@newsis.com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11만1000개 증가하는 데 그치며 통계 작성 이래 두 번째로 낮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건설업 부진과 20대 이하 청년층 고용 감소가 겹치면서 노동시장 전반의 회복세가 제한적이었다는 분석이다. 1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11만1000개(0.5%) 늘었다. 증가 폭은 2018년 통계 집계 이후 두...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19 05:03:57 oid: 081, aid: 0003593211
기사 본문

데이터처 2분기 일자리 동향 11.1만개 늘고 건설업 14.1만개 ↓ 제조업도 1.3만개 줄어 위축 지속 올해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가 약 11만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통계 작성 이후 두 번째로 작은 증가 폭이다. 건설업과 제조업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20대 이하 청년 일자리는 13만개 넘게 쪼그라들었다. 국가데이터처가 18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1년 전보다 11만 1000개 늘었다. 지난 1분기(1만 5000개)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작은 증가 폭이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해, 취업자와 달리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일자리를 가질 경우 각각 집계된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 일자리가 14만 1000개 급감해 7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제조업도 1만 3000개 줄며 1분기(-1만 2000개)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됐다. 제조업 중에선 금속가공(-8000개)...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18 12:07:08 oid: 022, aid: 0004083470
기사 본문

건설·제조업 부진에 고용한파 지속 올해 2분기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만5000개 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건설·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한파’가 지속된 가운데 정보통신 부문 일부 업체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된 이후 신규 채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청년층 일자리 감소세가 계속됐다는 분석이다. 40대 임금근로 일자리 역시 건설·제조업 부진 탓에 8만개 정도 감소하는 등 우리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연령층 역시 고용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서울 마포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청년 구직자가 상담을 받고 있다. 뉴시스 1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분기(5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11만1000개 늘었다. 지난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25만4000개 는 것을 고려하면 1년 새 증가폭이 절반 이상 감소한 셈이다. 2분기 일자리 증가폭은 역대 최소였던 올...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19 06:02:12 oid: 022, aid: 0004083690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임금근로자 동향 건설·제조업 부진 장기화 여파 정보통신 구조조정 후 채용 실종 20대 이하 일자리 11분기째 줄어 40대도 8만개 감소… 8분기 연속 ↓ 올해 2분기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만5000개 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건설·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한파’가 지속된 가운데 정보통신 부문 일부 업체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된 이후 신규 채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청년층 일자리 감소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40대 임금근로 일자리 역시 건설·제조업 부진 탓에 8만개 정도 감소하는 등 우리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연령층 역시 고용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 채용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1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분기(5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11만1000개 늘었다. 지난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25...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19 06:44:16 oid: 422, aid: 0000803141
기사 본문

올해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가 약 11만개 늘어났지만, 증가 폭이 역대 두 번째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제(1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천90만여 개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만1천개 증가했습니다. 역대 최소 증가 폭을 기록했던 지난 1분기의 1만5천개에 이어 두 번째로 증가 폭이 작습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전문·과학·기술 등에서는 증가했고, 건설업은 14만개 넘게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 미만에서 13만5천개의 일자리가 급감한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23만5천개 늘었습니다. #일자리 #임금 #근로 #국가데이터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중앙일보 2025-11-18 15:28:48 oid: 025, aid: 0003483499
기사 본문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11만1000개 늘어나며, 2017년 통계 작성 후 역대 두 번째로 적게 증가했다. 고용 증가세가 둔화된데다, 그마나 늘어난 일자리도 60세 이상 고령층에만 집중되는 등 고용 상황 전반이 악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 채용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1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2분기(5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1년 전보다 11만1000개(0.5%)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된 2017년 이후 2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작은 증가폭이다. 임금 근로자는 올해 1분기에도 1만5000개 증가하며 역대 최소 증가폭을 기록했다. 임금 일자리 증가폭이 둔화된 건 건설업과 제조업 등 주력 산업 부진 장기화 영향이다. 건설업 일자리는 1년 전보다 14만1000개가 줄었는데 23년 4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1만3000개)도 전분기(-1만2000개)에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8 12:01:16 oid: 079, aid: 0004087050
기사 본문

역대 최악 올해 1분기 이어 일자리 가뭄 심각했던 2분기 건설업 7분기 연속 감소…마찬가지로 역대 최저 1분기, 두 번째로 낮은 2분기 기록 세워 제조업도 2분기 연속 감소에…20대 이하 청년층·남성 일자리 주로 감소 연합뉴스 올해 2분기 일자리가 11만여 개 증가하는 데 그쳐, 역대 가장 증가폭이 낮았던 올해 1분기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18일 발표한 '2025년 2/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 개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1만 1천 개 증가했다. '일자리'는 노동자가 점유한 고용위치를 말해, '취업자'와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주중에 회사를 다니며 주말에 아르바이트를 할 경우 취업자는 한 사람이지만, 일자리는 2개가 된다. 국가데이터처 제공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은 최근 들어 가파르게 낮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고용시장이 회복되던 2022년 1분기(75만 2...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