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가계빚 1,968조 '역대 최대'...대출규제에 증가폭 축소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앵커] 올 3분기 가계 빚이 1,968조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6·27 규제 이후 가계대출 규모가 줄면서 증가 폭은 축소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손효정 기자, 3분기 가계 빚 통계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한국은행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가계신용 잔액을 잠정 집계한 결과 9월 말 기준 천968조 3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 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02년 이후 가장 큰 규모입니다. 가계 빚은 사상 최대치지만 증가 속도는 둔화했습니다. 직전 분기보다 14조 9천억 원이 늘어, 2분기 증가액인 25조 원보다 오름폭이 줄었습니다. 가계신용은 은행이나 보험사,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까지 더한 포괄적인 가계 부채를 말하는데요. 이 가운데 카드 대금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은 천845조 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2조 원 늘어났습니다. 증가 폭은 2분기의 절반 수준입니다. 가계대...
기사 본문
한국은행,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가계신용 잔액 전기比 14.9조원 증가…증가폭↓ “6.27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영향” “3분기 실질 GDP 상승, 가계부채비율 하락 가능성”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이재명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세가 둔화했다. 올해 2분기 25조원 가까이 급증했던 가계대출 증가폭은 12조원으로 절반 수준 줄어든 가운데 한국은행은 향후에도 가계대출이 완만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18일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이후 진행한 설명회에서 “‘6.27’대책에 더해서 10월 추가 대책 영향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는 좀 더 안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은이 발...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3분기 잔액 1968.3조 '역대 최대' 25.1조→14.9조 증가폭 축소 "주담대 4분기 추가 둔화될 수도…빚투 추이는 예단 어려워" 우리나라의 가계신용(빚)이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정부의 고강도 규제에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증가 폭이 축소됐고, 신용대출은 감소 전환했다. 주담대는 정부의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 여파로 4분기에도 안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한은 제공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 14조9000억원 늘었고,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증가 폭은 전 분기(25조1000억원)보다 축소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
기사 본문
한국은행, 올해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가계신용 잔액 전기比 14.9조원 증가…증가폭↓ “6.27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영향” “정부 대책으로 향후 가계대출 안정적 흐름 전망”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이재명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세가 둔화했다. 올해 2분기 25조원 가까이 급증했던 가계대출 증가폭이 12조원으로 절반 수준 줄어든 가운데 한국은행은 향후에도 가계대출이 완만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설명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윤석규 금융통계팀 조사역, 김민수 금융통계팀장, 배지현 금융통계팀 과장(사진=한국은행) 정부 가계부채 대책 효과 가시화 18일 한은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원으로 전분기 말(1953조 3000억원) 대비 14조 9000억원 늘었다. 6개 분기 연속 ...
기사 본문
6·27대책 영향, 주담대등 축소 연말을 앞두고 은행들이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대출 한파가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16일 서울 한 은행에 붙은 주담대 관련 안내문의 모습 /사진=뉴시스 국내 가계빚이 1968조원으로 불어났다. 올해 3분기 중 14조9000억원 늘었다.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 정부 정책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폭은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 가계신용(대출+카드빚)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4조9000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지난 2분기(25조1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상품별로는 주택담보대출(14조4000억원→11조6000억원)이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9조2000억원→3000억원)은 신용대출이 감소로 전환하면서 증가폭이 줄었다. 신용대출 한도를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6·27 대책의 영향이다. 김민수...
기사 본문
한은 ‘3분기 가계신용’ 통계 보니 가계신용 잔액 1968조 역대 최대 증가폭은 전 분기 대비 크게 줄어 지난 9월 말 가계 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또 다시 갈아치웠다. 서울의 한 은행에 주택담보대출 상품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올해 3분기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의 영향으로 전체 가계부채가 15조원 가까이 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6·27 대출규제 등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증가폭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1952조8000억원)보다 14조9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가 공표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
기사 본문
전분기 대비 14.9조↑…6·27 대책에 증가폭 10조↓ 주담대 11조 6000억·판매신용 3조↑…한은 "점진적 하향 안정화"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11.16/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올해 3분기 가계가 진 빚이 15조 원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증가 폭은 전분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준화되고, 신용대출이 급감하면서 전체 빚 증가 폭이 크게 축소됐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14조 9000억 원(0.8%)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거나(가계대출)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한 대금(판매신용) 등을...
기사 본문
가계신용 증가폭 25.1→14.9조 가계대출 증가폭 23.6→12조 6·27 부동산 대책 영향…4분기에도 안정세 한국은행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CSI는 122로 전월(112)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전 문재인 대통령 집권 말기 수준 이후 최대 수준으로 올랐다. 사진은 이날 서울 반포대교에서 바라본 아파트 건축 현장의 모습. 2025.10.28.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6·27 부동산 종합 대책에 올해 3분기 가계신용(가계빚)이 14조9000억원 늘며 증가폭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한국은행은 10·15 부동산 대책까지 추가되면서 4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더 안정될 것으로 봤다. 한은이 1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