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에 스멀스멀' 클럽마약 세관 적발 5년새 7.3배 급증

2025년 11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6개
수집 시간: 2025-11-19 01:46:1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1-18 14:19:30 oid: 003, aid: 0013607123
기사 본문

케타민 급증, 대부분 특송화물…청년층 중심으로 확산 관세청 "AI 선별 시스템, 발송국과 공조 강화해 공급망 차단" [대전=뉴시스] 최근 5년간 클럽마약 적발 현황.(사진=관세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청년층이 주 소비자인 '클럽마약'의 적발량이 최근 5년간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은 올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을 통해 115.9㎏을 적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클럽마약(Club Drugs)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하는 마약류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이 있다. 감각마비, 환각, 피로감소, 자극증가를 유발하고 일부 성범죄에 악용된다. 연도별 클럽마약 적발건수는 2021년 15.8㎏(215건), 2022년 50.2㎏(186건), 2023년 69.8㎏(185건), 지난해 79.9㎏(183건), 올해 9월 기준 115.9㎏(116건)으로 집계됐다. 건수는 감소세를 보였으나 적발량은 2021년 15....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8 10:23:37 oid: 025, aid: 0003483414
기사 본문

청년층을 주요 표적으로 하는 이른바 ‘클럽마약’의 밀반입이 최근 5년간 7.3배로 증가했다. 올해 1~9월에만 115.9㎏의 마약이 적발됐는데, 약 232만 명(케타민 1회 투약량 0.05g 기준)이 동시에 투약이 가능한 양이다. 서울 광진경찰서가 올해 5월 해외 마약조직원에게서 압수한 케타민. 김성진 기자 18일 관세청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을 단속한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클럽이나 유흥업소 등에서 소비되는 마약은 MDMA·케타민·LSD 등이 대표적이다. 감각 마비, 환각, 피로 감소, 자극 증가를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 악용된다. 클럽마약 적발 건수는 2021년 215건, 지난해 183건, 올해 1~9월 116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적발 건수는 줄었지만, 대규모 밀수가 잦아지면서 적발 중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5.8㎏이었던 적발 중량은 매년 꾸준히 늘어 지난해에는 79.9㎏이었다. 올해에는 9월까지 적발 중량만 115.9㎏으로, 이미 지난해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18 09:58:27 oid: 277, aid: 0005680813
기사 본문

청년층을 타깃으로 클럽마약을 밀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클럽마약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지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를 말한다. 케타민, MAMA, LSD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마약은 감각마비, 환각, 피로 감소, 자극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는 클럽마약을 성범죄에 악용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단속에서 적발된 '클럽 마약' 케타민이 비닐포장 안에 담겨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출처=연합뉴스 관세청은 2021년 대비 올해(9월 기준) 클럽마약 밀반입 적발량이 7.3배 늘어났다고 18일 밝혔다. 클럽마약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지난 9월 116건으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적발량은 15.8㎏에서 115.9㎏으로 증가했다. 지난 1~9월 적발한 클럽마약(115.9㎏)은 232만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지난해 연간 적발량(79.9㎏)을 이미 초과했다. 최근 클럽마약 밀수 시도가 늘고 있다는 것을 가늠케 하는 대목이다. 클럽마약 중 밀반입 증가세가 가...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18 10:33:08 oid: 016, aid: 0002559243
기사 본문

- 관세청, AI 기반 위험 선별 시스템 고도화·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 강화 등 공급망 차단에 집중 * 케타민 1kg은 약 2만명이 동시투약 가능한 양(1회 0.05g기준) [헤럴드경제= 이권형기자] 관세청은 올해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명 클럽마약(‘Club Drugs’, ‘Party Drugs’)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이 있음. 감각마비, 환각, 피로감소, 자극증가를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다. 관세청의 클럽마약 전체 적발건수는 지난 2021년 215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으나,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하여 중량 기준으로 7.3배 증가했다. 이는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특히 지난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적발량(115....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