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말 가계빚 1968조원 또 최대…증가폭은 40%↓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가 내림세를 보인 18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대출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연합뉴스 올해 3분기 가계비이 1968조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6·27 대책 등의 영향으로 증가 속도는 줄었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천억원으로 전분기말보다 14조9천억원 늘었다.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분기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천억원)보다 약 10조원(40%) 감소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 작년 1분기 3조1천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해 3분기까지 여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가계대출 잔액은 1845조원으로 전분기말 대...
기사 본문
한국은행,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가계신용 잔액 전기比 14.9조원 증가…증가폭↓ “6.27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영향” “3분기 실질 GDP 상승, 가계부채비율 하락 가능성”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이재명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세가 둔화했다. 올해 2분기 25조원 가까이 급증했던 가계대출 증가폭은 12조원으로 절반 수준 줄어든 가운데 한국은행은 향후에도 가계대출이 완만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18일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이후 진행한 설명회에서 “‘6.27’대책에 더해서 10월 추가 대책 영향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는 좀 더 안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은이 발...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3분기 잔액 1968.3조 '역대 최대' 25.1조→14.9조 증가폭 축소 "주담대 4분기 추가 둔화될 수도…빚투 추이는 예단 어려워" 우리나라의 가계신용(빚)이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정부의 고강도 규제에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증가 폭이 축소됐고, 신용대출은 감소 전환했다. 주담대는 정부의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 여파로 4분기에도 안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한은 제공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 14조9000억원 늘었고,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증가 폭은 전 분기(25조1000억원)보다 축소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
기사 본문
한국은행, 올해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발표 가계신용 잔액 전기比 14.9조원 증가…증가폭↓ “6.27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영향” “정부 대책으로 향후 가계대출 안정적 흐름 전망”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이재명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세가 둔화했다. 올해 2분기 25조원 가까이 급증했던 가계대출 증가폭이 12조원으로 절반 수준 줄어든 가운데 한국은행은 향후에도 가계대출이 완만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설명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윤석규 금융통계팀 조사역, 김민수 금융통계팀장, 배지현 금융통계팀 과장(사진=한국은행) 정부 가계부채 대책 효과 가시화 18일 한은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원으로 전분기 말(1953조 3000억원) 대비 14조 9000억원 늘었다. 6개 분기 연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