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 절반 '다주택자'…서울·강남 3구 집중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2천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재산(5조 7천134억 원)의 58.7%인 3조 3천556억 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 중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천527 채였습니다. 가액으로 따지면 2조 3천156억 원입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천665채(58.9%)로 절반 이상이었고, 가액은 1조 7천750억 원(76.7%)에 달했습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등의 순이었습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지자체장이 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 연구기관 공직자가 각 1....
기사 본문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들이 소유한 강원주택이 169채, 341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전체 4527채 가운데 3.7%의 비중을 보였다. 금액으로는 2조3156억여원 가운데 1.5% 수준이다. 전국적으로는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자체장(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 연구기관 공직자가 각 1.71채 수준이었다. 국회의원은 평균 1.41채를 보유했다. 최수진 국회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평창군 아파트 1채를 포함한 총 7채를, 최성아 해외언론비서관은 속초시 복합건물 1채를 포함한 총 7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영월출신 유상임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서울 관악구 본인 명의...
기사 본문
[출처-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고위 공직자 및 국회의원 중 2명 중 1명이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회의원을 비롯해 고위 관료 등 공무원(4급 이상) 2581명의 가족 재산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이들 가운데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가지고 있었고,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건물 자산은 총 3조3556억원으로, 전체 재산(5조7134억원)의 58.7%를 차지했습니다. 이 중 실거주 가능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 가액으로는 2조3156억원이었습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전체 4527채 중 아파트는 2665채(58.9%)였고, 가액은 1조7750억원(76.7%)에 달했습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다세대·연립·다가구주택(합계 9.0%) 순이었습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
기사 본문
주거용 부동산 4527채…아파트 보유 비중 59%로 압도적 3주택 이상 보유자 17.8%…최다 보유자 조성명 강남구청장 (자료제공 = 리더스인덱스)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정부 고위 관료 및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등 고위 공직자의 48.8%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채 이상 보유자도 17.8%(460명)에 달했다. 서울 소재 주택이 가장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강남 3구 집중도가 높았다. 또한 이들이 보유한 주택 유형 중에선 아파트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직(4급 이상) 2581명의 가족 재산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건물 자산은 총 3조 3556억 원으로 전체 재산(5조 7134억 원)의 58.7%를 차지했다. 그중 실거주 가능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 가액으로는 2조 3156억 원이었다. 리더스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비중이 단연 컸다. 전체 ...
기사 본문
▲ 서울 시내 아파트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2천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재산 5조 7천134억 원의 58.7%인 3조 3천556억 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 중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천527채였습니다. 지역은 서울 중심, 그중에서도 특히 '강남 3구'에 집중돼 전체의 41.5%를 차지했습니다. 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공직자는 총 42채를 보유한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으로, 본인 명의 강남구 아파트 1채, 고양시 오피스텔 38채, 속초시 오피스텔 1채와 배우자 명의 강남구 복합건물 2채가 포함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기사 본문
고위관료, 1인당 평균 1.89채…국회의원 1.41채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산(5조7134억원)의 58.7%인 3조3556억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 중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였다. 가액으로 따지면 2조3156억원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65채(58.9%)로 절반 이상이었고, 가액은 1조7750억원(76.7%)에 달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등의 순이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자체장이 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
기사 본문
17일 서울 남산에서 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2025.11.17. 뉴시스 국회의원을 비롯한 4급 이상 공직자 중 절반 가까이가 부동산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이 서울에 보유한 주택 가운데 40% 이상이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선출 및 임명직 4급 이상 공무원 2581명의 가장 최근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9%(1262명)가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채 이상을 보유한 사람은 17.8%였다. 이번 조사는 공직자윤리법 제3조에 따라 재산등록 의무가 있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정무직공무원, 4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 공직유관단체 임원 등을 대상으로 했다. 전체 재산 규모(5조7134억 원)의 58.7%인 3조3556억 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중 아파트 등 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2조3156억 원(4527채)이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65채...
기사 본문
고위공직자 48.8%가 다주택자…수도권 비중 50% 수준 국회의원 중 박민규(13채)·조은희(10채)·최수진(7채) 순 ◆…10·15대책 발표 전인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10건 중 약 3.7건을 30대가 사들이며 30대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9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정부 고위공직자 및 국회의원 중 절반 가까이가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18일 국회의원을 비롯한 고위 공무원(4급 이상) 2581명의 가족 재산공개 내역을 분석해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48.8%는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17.8%는 3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비중이 가장 컸다. 전체 4527채 중 아파트는 2665채(58.9%)였고,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다...
기사 본문
한국에서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고위 공직자는 총 42채를 보유한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선출되거나 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2천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본인 명의 강남구 아파트 1채, 배우자 명의 강남구 복합건물 2채, 본인 명의 고양시 오피스텔 38채와 강원도 속초시 오피스텔 1채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는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9%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8% 정도는 3채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천665채(58.9%)로 절반 이상이었고,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순이었습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지자체장이 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 연구기관 공직자가 각 ...
기사 본문
30%, 서울 소재…강남 3구 집중 조성명 강남구청장 42채 ‘최다’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두 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로 조사됐다. 특히 10채 중 약 3채는 서울 주택이고, 이 가운데 41%는 강남 3구에 있다.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공직자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18일 분석한 결과, 절반 가까이 되는 48.8%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세 채 이상을 소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재산(5조7134억원)의 58.7%인 3조3556억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 중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였다. 가액으로 따지면 2조3156억원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65채(58.9%)로 절반 이상이며, 가액은 1조7750억원(76.7%)에 달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등의 순이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
기사 본문
4급 이상 등 2581명 재산 분석 조성명 강남구청장 42채로 1위 의원 중엔 박민규 13채로 최다 국회의원과 고위급 공무원 등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 2명 중 1명이 주택을 두 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집중됐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과 공직유관단체 임원 등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8%인 1260명이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했다. 이 가운데 460명(17.8%)은 3채 이상을 가졌다. 이들의 전체 재산은 총 5조 713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58.7%인 3조 3556억원이 건물 자산이었다. 특히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이 4527채로, 가액으로는 2조 3156억원에 이른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65채(58.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 가액으로 1조 7750억원(76.7%) 수준이다. 이어 단독주택(16.6%...
기사 본문
핵심요약 고위공직자 48.8% '다주택자' 아파트가 58.9%로 압도적…강남 3구에 집중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 42채로 최다·민주당 박민규 의원도 '13채' 공직자 보유 주택 1채당 평균 가액. 리더스인덱스 제공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조사기관 리더스인덱스가 4급 이상 선출·임명직 고위공직자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8.8%가 2채 이상, 17.8%는 3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총 재산은 총 5조 7134억원이며, 그 가운데 건물 자산이 3조 3556억원(58.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총 4527채, 가액은 2조 3156억원이었다. 주택 형태를 보면 아파트가 2665채(58.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가액 기준으로는 1조 7750억원(76.7%)에 달했다. 이밖에 단독주택(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