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표적 삼은 '클럽 마약' 5년 사이 적발량 7.3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최근 5년 사이 케타민과 엑스터시(MDMA) 등 클럽이나 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이른바 '클럽 마약' 적발량이 7배 넘게 늘었습니다. 관세청은 클럽 마약 적발 건수는 지난 2021년 215건에서 올해 9월 기준 116건으로 줄었지만 적발량은 15.8㎏에서 115.9㎏으로 7.3배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32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올해 9월까지 적발량은 지난해 전체 적발량인 79.9㎏을 훌쩍 뛰어넘습니다. 특히 올해 케타민 적발량만 101.9㎏으로 5년 새 17.3배 늘었고 밀수 적발 건수도 15건으로 15배나 늘었습니다. 케타민은 90% 이상이 특송화물과 여행자 수하물을 통해 유입됐고 주요 발송국은 프랑스, 영국, 독일 등으로 유럽에서 활동하는 국제마약조직이 시장 개척을 위해 한국으로 밀반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관세청은 클럽 마약 밀수 증가가 청년층 기반 수요 증가로 확산할 가능성이 큰 만큼 우범 여행자와 특송화물 등을 대상으로 집중 검사를 하...
기사 본문
청년층을 주요 표적으로 하는 이른바 ‘클럽마약’의 밀반입이 최근 5년간 7.3배로 증가했다. 올해 1~9월에만 115.9㎏의 마약이 적발됐는데, 약 232만 명(케타민 1회 투약량 0.05g 기준)이 동시에 투약이 가능한 양이다. 서울 광진경찰서가 올해 5월 해외 마약조직원에게서 압수한 케타민. 김성진 기자 18일 관세청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을 단속한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클럽이나 유흥업소 등에서 소비되는 마약은 MDMA·케타민·LSD 등이 대표적이다. 감각 마비, 환각, 피로 감소, 자극 증가를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 악용된다. 클럽마약 적발 건수는 2021년 215건, 지난해 183건, 올해 1~9월 116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적발 건수는 줄었지만, 대규모 밀수가 잦아지면서 적발 중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5.8㎏이었던 적발 중량은 매년 꾸준히 늘어 지난해에는 79.9㎏이었다. 올해에는 9월까지 적발 중량만 115.9㎏으로, 이미 지난해 ...
기사 본문
청년층을 타깃으로 클럽마약을 밀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클럽마약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지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를 말한다. 케타민, MAMA, LSD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마약은 감각마비, 환각, 피로 감소, 자극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는 클럽마약을 성범죄에 악용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단속에서 적발된 '클럽 마약' 케타민이 비닐포장 안에 담겨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출처=연합뉴스 관세청은 2021년 대비 올해(9월 기준) 클럽마약 밀반입 적발량이 7.3배 늘어났다고 18일 밝혔다. 클럽마약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지난 9월 116건으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적발량은 15.8㎏에서 115.9㎏으로 증가했다. 지난 1~9월 적발한 클럽마약(115.9㎏)은 232만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지난해 연간 적발량(79.9㎏)을 이미 초과했다. 최근 클럽마약 밀수 시도가 늘고 있다는 것을 가늠케 하는 대목이다. 클럽마약 중 밀반입 증가세가 가...
기사 본문
- 관세청, AI 기반 위험 선별 시스템 고도화·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 강화 등 공급망 차단에 집중 * 케타민 1kg은 약 2만명이 동시투약 가능한 양(1회 0.05g기준) [헤럴드경제= 이권형기자] 관세청은 올해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명 클럽마약(‘Club Drugs’, ‘Party Drugs’)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이 있음. 감각마비, 환각, 피로감소, 자극증가를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다. 관세청의 클럽마약 전체 적발건수는 지난 2021년 215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으나,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하여 중량 기준으로 7.3배 증가했다. 이는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특히 지난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적발량(115....
기사 본문
올해 116㎏ 232만명분 ‘역대 최대’ 젊은층 타깃 갈수록 대형화 佛-英-獨 등 유럽서 밀반입 관세청 로고. (관세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2025.9.8/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젊은 층을 주 타깃으로 하는 일명 ‘클럽 마약’의 밀수 적발량이 올해 처음으로 100kg을 돌파했다. 최근 4년 새 적발량이 7.3배로 크게 늘었다. 특히 클럽 마약의 대표 격인 케타민의 1kg 이상 대규모 밀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관세청이 올해 1∼9월 클럽 마약 밀반입 단속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총 115.9kg 규모의 클럽 마약이 적발됐다.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클럽 마약은 엑스터시(MDMA), 케타민, LSD 등으로 클럽이나 파티, 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된다. 해당 마약류는 감각 마비, 환각, 피로 감소, 자극 증가 등의 반응을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도 악용돼 국내에서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클럽 마약 적발량은 2021년(15.8...
기사 본문
최근 5년 사이에 청년층을 타겟으로 하는 클럽마약 적발량이 7배 넘게 늘었습니다. 관세청은 지난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새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클럽마약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로,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입니다. 클럽마약 전체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지만,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해 중량 기준으로 7.3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특히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적발량(115.9kg)이 2024년 전체 적발량(79.9kg)을 초과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클럽마약 가운데 밀반입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케타민으로, 특히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 적발건수가 급증했습니다. 케타민 적발량은 2021년 5.9kg에서 2025년 101.9kg으로 17....
기사 본문
특송·수하물 통해 90% 유입…유럽 조직 한국 시장 노려 관세청 "AI 기반 위험선별·국제 공조로 공급망 차단" ◆ 올해 세관에 적발된 은막지, 먹지로 은닉한 케타민 24kg 및 태국발 건망고 재포장한 대마초 적발 사례. 청년층을 주요 대상으로 한 '클럽마약' 밀반입이 급증하면서, 관세청이 공급망 차단 등 집중 대응에 나섰다. 최근 5년간 클럽마약 적발량이 7.3배 증가한 데다,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까지 급증하며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전체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지만,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급증해 중량 기준 7.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9월 적발량만으로도 지난해 전체 적발량(79.9kg)을 훌쩍 넘어 증가세가 매우 가파르다. 이 적발량은 약 232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마약류가 청...
기사 본문
케타민 급증, 대부분 특송화물…청년층 중심으로 확산 관세청 "AI 선별 시스템, 발송국과 공조 강화해 공급망 차단" [대전=뉴시스] 최근 5년간 클럽마약 적발 현황.(사진=관세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청년층이 주 소비자인 '클럽마약'의 적발량이 최근 5년간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은 올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을 통해 115.9㎏을 적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클럽마약(Club Drugs)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하는 마약류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이 있다. 감각마비, 환각, 피로감소, 자극증가를 유발하고 일부 성범죄에 악용된다. 연도별 클럽마약 적발건수는 2021년 15.8㎏(215건), 2022년 50.2㎏(186건), 2023년 69.8㎏(185건), 지난해 79.9㎏(183건), 올해 9월 기준 115.9㎏(116건)으로 집계됐다. 건수는 감소세를 보였으나 적발량은 2021년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