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일반주유소 수 9000개 붕괴 임박…“알뜰주유소 지원 재검토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세미나 알뜰주유소로 폐업주유소 늘어 6년간 주유소 9.8%↓, 알뜰주유소 10%↑ “알뜰주유소로 이중가격 형성…에너지 전환 저해” 주유소 밀도 감소시 소비자 주유거리비 증가 지적도 “알뜰주유소 인센티브로 한계주유소 지원해야” 서울 시내 한 알뜰주유소 모습. [뉴시스]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알뜰주유소 제도로 인해 국내 정유사들의 미래 투자 여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유제품의 시장 가격이 왜곡되면서 정유사들이 확보할 수 있는 투자 재원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알뜰주유소가 생긴 이래 정유사는 물론 일반주유소들이 겪고 있는 피해가 커진 만큼 알뜰주유소 지원제도의 축소 및 폐지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형건 강원대 경제·통계학부 교수는 18일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 알뜰주유소 정책의 한계와 과제’ 세미나에서 “정유제품 시장 가격을 평균 총비용보다 낮게 장기간 묶어두는 것은 사실상 정유 산...
기사 본문
알뜰주유소 이중공급가로 정유·주유소 투자여력 약화 단기 가격인하 뒤 경쟁 약화·폐업 압력 커지는 구조 확인 “물가대응 정책, 민간 중심 체제로 재설계해야” 18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정책토론회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알뜰주유소 정책의 한계와 과제’에서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정진주 기자 [데일리안 = 정진주 기자] 알뜰주유소의 이중공급가·형평성·투자 저해 구조가 전환기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지적되며 정유·주유소 생태계 전반을 흔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가격인하 중심 정책에서 민간 중심 자율경쟁 체제로의 단계적 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알뜰주유소 정책의 한계와 과제’ 토론회에서 발표자들은 “고유가 시대의 물가 안정용 정책이 에너지 전환기에는 오히려 산업 생태계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단계적 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형건 강원대 경제통계학부 교수가 18일 ...
기사 본문
"정부 투입 예산보다 소비자잉여 낮아…사업자·고소득층 더 수혜" "알뜰주유소 생기면 주변 폐업률 2.5배 급증 김형건 강원대 경제통계학부 교수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에너지전환시대, 알뜰주유소 정책의 재평가'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11.18/뉴스1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이명박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도입했던 '알뜰주유소'가 시장 비효율과 산업 기반 약화라는 부작용을 키우고 있다는 산학계 지적이 18일 나왔다. 유류비 경감이라는 정책 취지는 미미한 반면, 매년 수천만 원의 예산만 낭비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특히 알뜰주유소가 일반주유소의 퇴출을 부추겨 소비자 후생과 중장기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물가 안정 효과 '미미'…순편익은 '마이너스' 김형건 강원대 경제통계학부 교수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에너지전환시대, 알...
기사 본문
‘이중 가격 구조’로 일반 주유소 ‘눈물의 폐업’ 정유사 경쟁력 약화…에너지 전환 투자 여력↓ “민간 vs 정부 경쟁 불합리…정책 재설계해야”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알뜰주유소 정책이 2011년 도입 이후 올해로 15년차를 맞은 가운데 정책 역기능을 제외하고 민간 중심 체제로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가격 인하 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 왜곡과 사업자 간 형평성 훼손, 에너지 전환기 정유사의 투자 여력 상실 등 구조적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것이 그 논리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 알뜰주유소 정책의 한계와 과제’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고유가 시대의 정책이 이제는 산업 생태계를 약화하고 있다”며 제도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유통시장 개선 방안:알뜰주유소 정책의 한계와 과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김은경 기자) 정부 예산 투입 고려하면 순편익 ‘마이너스’ 전문가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