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취업자 수 31.2만명↑…'소비쿠폰 효과'로 서비스업 증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으로 도소매와 숙박음식점업의 고용이 증가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등의 일자리 감소는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31만2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0만명을 넘어선 것은 작년 2월(32만9000명) 이후 19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 취업자 수는 5월(24만5000명)을 제외하고는 10만명대를 맴돌았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나타났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000명 늘며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000명 증가하며 올해 3월 이후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예술·스포츠·여가 취업자도 7만5000명 늘었다. 정부는 7월부터 집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서비스업...
기사 본문
[앵커] 지난달 취업자 수가 31만 명 넘게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와 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건설과 제조업의 고용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 2천 명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입니다. 올 들어 취업자 수는 5월 20만 명대를 빼면 매달 10만 명대 증가에 머물렀습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소비쿠폰 효과와 추석 연휴 명절 특수 등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뚜렷했습니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천 명이 늘며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고, 숙박·음식점업도 2만6천 명이 증가해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는 7만 5천 명,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9천 명 늘며 22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공미숙 ...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9월 고용동향 발표 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 취업자수 반등 건설업 17개월 제조업 15개월 연속 감소 15~64세 고용률 70.4%…9월 기준 역대 최고 청년 고용률은 17개월째↓…하락폭은 축소 정부 "정책 효과로 노동시장 진입 늘고 있어"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일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의 한 상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5.09.21. hwang@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임하은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2차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문화쿠폰의 효과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예술·여가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하지만 건설업·제조업·농림어업 등에서는 고용 부진이 지속됐고, 청년층 고용률도 17개월째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17일...
기사 본문
취업자 1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도소매 약 8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 청년층 고용률 17개월 연속 하락…제조업 취업자 수 15개월째 감소 취업자 1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천91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천명 증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구인 게시판 모습. 2025.10.17 cityboy@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정책 효과가 일용·임시직에 집중되면서 제조업·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 고용률 하락은 계속됐다. 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