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아빠 “비트코인 급락은 단기 조정…장기 보유에 추가 매수도 할 것”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초 9만3425달러 수준도 못미쳐…상승분 반납 기관 수요 감소와 AI거품론도 시장에 악영향 "최고가 찍고 하락…4년 주기 반감기 사이클"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빗썸라운지에 설치된 전광판에 비트코인 시세가 나오고있다.비트코인이 14일 오전 한 때 9만4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며 올초 가격으로 돌아갔다. 시장의 투자심리는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은 친(親) 가상자산 기조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30% 이상 급등한 바 있다. 지난달 초에는 12만6250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기록을 세웠지만, 하락세로 돌아서며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2025.11.17.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비트코인이 하락세를 거듭하며 1억3800만원대로 떨어졌다.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한 가격으로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추세적 하락기에 접어들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18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
기사 본문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클립아트코리아 [서울경제] 비트코인이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던 9만2000달러 아래로 밀리면서 글로벌 가상화폐 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 포털 ‘야후 파이낸스’는 17일(현지 시각) “이번 하락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추세적 하락 국면의 시작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18일 오전 8시 50분 기준(한국시간) 글로벌 암호화폐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2.47% 내린 9만196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무너진 9만2000달러 선을 회복하지 못한 채 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주요 코인들도 대부분 하락했다. 이더리움은 2.51% 떨어진 3018달러를 기록하며 3000달러 초반까지 내려왔고 리플은 2.74% 하락한 2.15달러, 바이낸스 코인은 2.39% 내린 90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7위인 솔라나는 5% 넘게 급락한 130.48달러로 낙폭이 가장 컸다. 솔라나는 전날 시총...
기사 본문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 가격이 급락세를 타면서 올해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한 가운데, 비트코인 상승을 주장했던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매도 의사가 없다”며 장기 보유 의지를 재확인했다. 로버트 기요사키 (기요사키 엑스 캡처) 기요사키는 1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X(옛 트위터)를 통해 “전 세계 시장이 폭락하는 이유는 모두가 현금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시장 공포로 유동성이 필요한 투자자들만 매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나는 충분한 현금흐름을 갖고 있어 보유 자산을 처분할 이유가 없다"며 이번 하락을 단기 조정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각국의 부채 부담을 언급하며 “결국 정부들은 대규모 통화 공급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그 시점이 오면 금·은 같은 실물자산과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단기적으로 현금이 필요하다면 일부 매각은 가능하다”면서도...
기사 본문
비트코인 9만3000달러 ‘붕괴’…구조적 약세 vs 일시적 충격? 글로벌 암호자산 시장이 급격한 조정을 맞으면서 비트코인이 약 6개월 만에 9만3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이번 하락은 대부분 단기 유동성 요인으로 인한 현상이라는 게 중론이다. 게티이미지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어진 낙폭은 투자자 심리를 크게 흔들었고, 일부 알트코인은 두 자릿수 급락을 기록하며 시장 전반에 ‘유동성 쇼크’ 우려를 키우고 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장기 보유를 외치는 이가 있다. 20년 넘게 투자 인사이트를 제시해온 베스트셀러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다. 그는 이번 하락을 “매도 이유가 아닌 매수 관찰 구간”으로 규정하며, 오히려 향후 강한 가치 상승을 예상했다. ◆“하락은 ‘일시적’…진짜 위험은 화폐가치 하락” 기요사키는 최근 SNS를 통해 “글로벌 자금 경색이 모든 자산군을 압박하고 있다”며 시장 불안을 촉발한 핵심 원인으로 ‘유동성 부족(Liquidity 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