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60% 올려도 D램 '품절'…빅테크들 "2027년 물량 달라" 입도선매 나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D램 품귀에···빅테크 1년치 입도선매 공장 증설해도 생산에 2년 걸려 시장 수요 맞추기보다 속도조절 8년전 슈퍼사이클보다 수요 강해 범용제품 반기 단위로 계약 체결 [서울경제]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투자 확대로 반도체 D램 품귀 현상이 심화하자 월·분기 단위로 체결되던 공급계약이 6개월 이상 물량을 확보하는 장기 계약 시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Big Tech)들은 벌써 2027년 D램 물량까지 확보하려 삼성전자(005930) · SK하이닉스(000660) 와 ‘입도선매’ 협상에 돌입했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17일 “D램 시장이 장기 계약 우위 시장으로 전환했다”며 “2017년 슈퍼사이클 당시보다 더 강한 매수 수요가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빠르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D램의 시장 가격은 최근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범용 D램인 더블데이터레이트(DDR) 8Gb(기가비트)의...
기사 본문
삼성전자 재고 절반 '뚝'·SK하닉도 감소…"생산 즉시 출하" 공급 부족으로 가격 급등…올 초 대비 D램 5배·낸드 2배 상승 삼성전자 평택사업장 내부에 조성된 연못 모습. (삼성전자 제공) ⓒ News1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메모리 반도체 '슈퍼 사이클(초호황)'을 맞아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의 재고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 품귀 현상이 벌어지면서 창고에 쌓여있던 제품까지 팔려나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반도체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이 계속되고 있어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당분간 상승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연초 대비 각각 5배와 2배 가까이 급등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량 확대에 나섰지만 폭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생산공장 신설에 시간이 필요한 데다 늘...
기사 본문
올 10월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 대전(SEDEX 2025)을 찾은 학생들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뉴스1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6일 대규모 반도체 시설 투자에 나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평택캠퍼스 5공장(P5) 공사에 착수한다. 2028년까지 완공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생산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최소 60조원 이상이 투입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총 4개의 팹(공장)을 짓기 위해 최소 128조원을 투자한다. 마찬가지로 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생산을 늘리기 위해서다. 이 같은 대규모 투자의 배경에는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급증한 메모리 수요가 자리하고 있다. 빅테크들이 AI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확대에 따른 메모리 공급 부족 사태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내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올해의 2배를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예상이 쏟아지고 있다. 테크 업계에선 이번 ‘반도체 슈퍼사이...
기사 본문
■D램 품귀에···빅테크 1년치 입도선매 공장 증설해도 생산에 2년 걸려 시장 수요 맞추기보다 속도조절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환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공급을 당장 늘릴 방법이 없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SK텔레콤이 개최한 ‘2025 인공지능(AI) 서밋’에서 이같이 밝히며 최근 반도체 D램 시장에서 벌어지는 ‘패닉바잉(Panic buying)’ 상황을 짚었다. 글로벌 빅테크들은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대규모언어모델(LLM)에서 추론형 AI모델,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할 피지컬 AI 등을 선점하려 천문학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AI 산업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 5000억 달러(약 730조 원)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돌입했고, 페이스북을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