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달러 넘처도 안파는 '래깅전략'에… 환율 '1500원'까지 오르나[S리포트]

2025년 11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1-18 07:07:3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S 2025-11-18 05:15:00 oid: 417, aid: 0001113755
기사 본문

[원/달러 환율 뉴노멀 시대] 34거래일째 1400원대 서학개미 투자·수출기업 래깅전략·기준금리 인하 지연 탓 [편집자주]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로 안착하면서 사실상 '뉴노멀' 구간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고환율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변화라는 진단마저 나온다. 이는 수출기업의 매도시점을 늦추는 래깅 전략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환율이 치솟으며 수출, 내수기업 희비가 엇갈리고 송금 부담에 잠을 설치는 기러기 아빠 등도 늘어나고 있다. 원달러 환율 1400원 시대가 사실상 일상화 했다. 사진은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환전소에서 외국인들이 환전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스1 최근 수출기업들이 벌어들인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매도 시점을 늦추는 이른바 '래깅 전략'을 강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간다. 지난 9월24일부터 34거래일 동안 1400원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이달 13일엔 장중 1470원...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18 05:11:13 oid: 081, aid: 0003592701
기사 본문

“외환·글로벌 위기 때보다 높다” 원달러 1458원… 증시 영향은 “환율 상승, 증시 악재 아니다” 원달러·코스피 간 탈동조화 뚜렷 상장지수펀드 자금 중요성 커져 “국내 증시 안전판으로 작용” 분석 “환율 안정돼도 코스피 떨어질 것” 원화 12% 저평가, 코스피에 악재 원화 약세에 외국인 환차손 우려 “코스피 단기 과열권 진입” 분석도 원달러 환율이 145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고환율 구조가 ‘뉴노멀’이 된 가운데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환율과 무관하게 인공지능(AI) 산업 호황과 정책 기대감을 업은 국내 증시가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과 원화 약세 장기화가 외국인 투자심리 위축으로 주가 지수를 끌어내릴 것이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7.68 포인트(1.94%) 오른 4089.25에 장을 마쳤다. 지난 3일 종가·장중 기준 사상 처음으로 4200선을 넘어간 뒤 조정 구간에 들어서, ...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17 03:04:11 oid: 020, aid: 0003674835
기사 본문

서학개미 투자 늘고 달러 수요 급증 원-달러 보름새 1.4% 뛰어 1453원 “외인 국채 계속 팔땐 1500원 갈수도”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67.7원)보다 10.7원 오른 1457.0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한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한미 관세 협상의 세부 작업이 막바지였던 11월 초 보름 동안 원-달러 환율이 다른 주요국 통화들에 비해 유독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연평균 환율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평균 환율(1394.97원)을 넘어서 사상 처음 1415원대에 올라섰다. 미국 주식을 사들이는 ‘서학개미’들과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들이 늘어 원화 대신 달러화를 찾는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옅어지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달러를 더 사들이고 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14일 원-달러 환율의...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17 17:56:18 oid: 015, aid: 0005212525
기사 본문

고착화된 高환율 (1) 10년 새 순대외자산 100배 증가…구조적 환율 상승 외화수급 구조적으로 변화…환율 고공행진 올들어 평균 환율 1415원 1998년·2009년보다 더 높아 개인·연기금, 해외투자 확대 순대외자산 10년새 100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후반에서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미국발(發)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정상으로 되돌아올 것으로 여겨졌지만 당국의 잇단 개입에도 환율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가계와 기업은 예상보다 길어지는 고환율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원인에 따른 원화 약세인 만큼 장기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7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15원50전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평균 환율 1394원97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276원35전보다 높았다. 사상 최대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