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국내에서도 LFP 배터리 생산...연간 1GWh[기업]

2025년 11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9개
수집 시간: 2025-11-18 06:56:5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1-17 14:00:34 oid: 052, aid: 0002274182
기사 본문

LG에너지솔루션이 오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 ESS에 쓰일 리튬인산철, LFP 배터리를 생산합니다. LG엔솔은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LFP 배터리 생산을 알리는 행사를 열고 연말부터 생산라인 구축작업을 시작해 2027년에는 연간 1기가와트시 규모의 LFP 배터리를 양산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LG엔솔은 지난해부터 중국 난징 공장과 미국 미시간 공장 등에서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해 지난 3분기 말 기준 120기가와트시의 수주 잔고를 확보한 데 이어, 보다 안정적인 공급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데일리안 2025-11-18 06:00:19 oid: 119, aid: 0003026159
기사 본문

테슬라·GM, 중국산 배터리·부품 배제 전략 본격화 LFP 핵심 공백에 국내 배터리사 대체 공급처로 부상 다만 EV 수요 둔화·OEM 자체 생산 등 신중론 병존 LFP 배터리 이미지. ⓒLG에너지솔루션 [데일리안 = 정진주 기자] 미국 완성차들이 전기차 공급망에서 중국산 부품과 배터리 사용을 잇달아 배제하면서 국내 배터리 기업이 중장기 대체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완성차들은 엔트리 전기차의 핵심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의존도가 높아 이를 대체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비중국권에서 LFP를 대량 양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곳이 사실상 국내 배터리사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와 GM 등은 최근 중국산 부품을 배제하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미국 생산 전기차에는 중국 기반 공급망을 활용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우선 협력사들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일부 핵심 부품은 이미...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18 05:00:09 oid: 014, aid: 0005435786
기사 본문

‘AI 데이터센터’에 북미 중심 성장세↑ LG엔솔, 미시간서 현지 유일 LFP 생산 삼성SDI, NCA 기반 ESS 양산 본격화 SK온, 최대 10GWh 규모 공급 계약 논의 “전기차 배터리 대비 수익성 기여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6월부터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의 대규모 양산에 돌입한 가운데 직원이 배터리 생산 공정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파이낸셜뉴스]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배터리업계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영향으로 북미 전력 수요가 급증해 전력망 안정화 중요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중 갈등 여파로 중국 배터리 기업의 고전이 이어지는 사이,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 확보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관세 폭탄 中 대비 韓 기업들 기회 잡아 18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235기가와트시(GWh)에서 2...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18 05:11:19 oid: 081, aid: 0003592703
기사 본문

충북서 2027년부터 본격 생산 전력거래소 입찰도 우위 기대 이복원(가운데) 충북도 경제부지사와 김기웅(왼쪽 두 번째) LG에너지솔루션 상무, 김형식(오른쪽 두 번째) 상무가 17일 충북 청주시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열린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라인을 구축해 2027년부터 양산에 나선다. LFP 기반 ESS 배터리의 국산화를 주도하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 생산라인 구축 작업을 시작해 2027년부터 1GWh(기가와트시) 규모의 LFP 배터리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생산 규모는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인 확대를 검토한다. ESS는 생성된 전기를 저장했...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