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가 뽑은 향후 10년 트렌드는…'AI·신흥시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골드만삭스가 향후 10년동안 트렌드로 인공지능(AI)과 신흥시장(Emerging Markets)을 꼽았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2일자로 이 같은 전망을 포함한 ‘10년 글로벌 전망 보고서’를 내놨다. 골드만삭스는 이 보고서에서 “경기 요인이 주기적으로 시장에 영햐을 미치겠지만 향후 10년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구조적 요인”이라면서 “AI는 올해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떠올랐으며 공급망 변동성·관세·환율 등으로 인해 신흥시장이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트렌드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특히 AI 버블 논란에도 글로벌 주식시장은 장기적으로 견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밸류에이션이 높은 현재 상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주식은 장기적으로 견조한 수익률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글로벌 주식은 역사적 중간값과 유사한 수준인 연평균 7.7% 성장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상황에 대해서는 AI 종목에 대해 고밸류에이션 우려가 ...
기사 본문
2026년 투자 전망 발표 “사모시장 대체투자 관심 높여야, 인프라 투자 기회 늘 것” 공모시장, 글로벌 분산 투자 중요성 부각 원·달러 환율이 1460원 이하로 하락했다. 11월 1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하락한 1456.00원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심아란 기자]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이하 골드만삭스)이 내년 사모투자(PEF) 시장에서 운용사(GP) 간 자산을 사고 파는 세컨더리 거래를 향한 출자자(LP)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수합병(M&A) 시장의 활성화를 내다보며 사모대출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골드만삭스는 2026년 투자 전망을 발표하면서 복잡한 시장 상황 속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제안했다. 알렉산드라 윌슨엘리존도 골드만삭스 멀티에셋 솔루션 부문 공동 CIO(최고투자책임자)는 “2026년에는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 지정학적 갈등, 구조적 변화로 인한...
기사 본문
골드만삭스 ‘2026년 투자 전망’ 발표 사모시장 “세컨더리에 LP 관심 지속 전망” 공모시장 “세심한 시장 흐름 분석이 열쇠” [이데일리 마켓in 박소영 기자] 내년도 투자시장과 관련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 지정학적 갈등, 구조적 변화로 말미암은 불확실성이 거시경제 환경의 주요 동인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알렉산드라 윌슨엘리존도 골드만삭스자산운용 멀티에셋 솔루션 부문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공모·사모시장 전반에서 시장 비정상화 국면과 구조적 성장 테마, 대체 수익원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투자 기회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보며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또한 “투자자들이 자산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테일 리스크 헤지 전략을 포함한 멀티에셋 접근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모투자, LP 관심 많은 ‘세컨더리’ 주목 18일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2026년 투자 전망을 발표했다. 골드만삭스...
기사 본문
골드만삭스운용 내년 투자전망…"불확실성 따른 다양한 투자기회" 여의도증권가 [촬영 안 철 수] 2025.10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관련 성과가 점차 차별화되고 있다며 개별 기업의 비즈니스 건전성을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18일 강조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이날 '2026년 투자 전망' 자료를 발표하면서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할 때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아마존·구글·메타·마이크로소프트·오라클 등 주요 기업들은 특히 AI 관련 설비 투자에 힘을 쏟고 있고 이런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이들 기업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 능력은 향후 추가 수익을 위한 중요한 기반으로 평가된다"면서도 "대형주의 성장 패턴이 모든 기업에 동일하지는 않고 일부 기업의 성과가 점차 차별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펀더멘털 중심의 투자 관점에서 개별 기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