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ESS용 LFP배터리 국내 생산 1GWh 규모… 2027년부터 본격 가동 돌입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전력거래소 1조 규모 입찰도 겨냥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ESS(에너지 저장 장치)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한다. 중국이 주도하던 LFP 배터리를 국내에서 생산하며 ESS 산업 생태계를 국내로 확산시키겠다는 전략이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초기 생산은 1GWh(기가와트시) 규모로 시작하고 향후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한다.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다. LFP 배터리는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 ESS 시장의 주류로 떠올랐지만 중국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해왔다. LG에너지솔루션은 비중국권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작년 중국 난징 공장을 시작으로, 지난 6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생산을 시작했...
기사 본문
‘AI 데이터센터’에 북미 중심 성장세↑ LG엔솔, 미시간서 현지 유일 LFP 생산 삼성SDI, NCA 기반 ESS 양산 본격화 SK온, 최대 10GWh 규모 공급 계약 논의 “전기차 배터리 대비 수익성 기여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6월부터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의 대규모 양산에 돌입한 가운데 직원이 배터리 생산 공정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파이낸셜뉴스]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배터리업계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영향으로 북미 전력 수요가 급증해 전력망 안정화 중요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중 갈등 여파로 중국 배터리 기업의 고전이 이어지는 사이,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 확보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관세 폭탄 中 대비 韓 기업들 기회 잡아 18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235기가와트시(GWh)에서 2...
기사 본문
현성보(왼쪽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 분산에너지과 사무관과 김기웅 LG에너지솔루션 ESS 셀개발담당, 이복원 충청북도청 경제부지사,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우섭 LG에너지솔루션 커뮤니케이션센터장이 17일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오창에서 시작되는 K-ESS, LFP로 더 안전하게"를 개최하고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업계 최초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한다. 정부가 추진 중인 조 단위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 시장을 정조준 했다. 회사는 또 중국과 미국, 유럽에 이어 한국까지 거점을 넓히며 비(非) 중국권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글로벌 LFP 4각 생산 체제를 완성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열었다. 올해 말 생산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1GWh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에 나설 예정...
기사 본문
오창 에너지플랜트서 기념 행사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하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LG에너지솔루션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하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 등이 참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라인 구축을 시작해 오는 2027년부터 가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은 1GWh 규모로 시작한다.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한다.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글로벌 ESS 시...
기사 본문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지속되는 전기차 수요 정체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리튬인산철) 전해액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엔켐은 올해 3분기 누적 중국 생산거점(조장 공장·장가항 공장) 합산 전해액 공급물량 중 ESS용 전해액 공급이 약 70% 비중을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엔켐은 중국 산둥성의 중치신능(Zhongqi)을 비롯해 중국과 미국에 생산기지를 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에 ESS용 전해액을 공급하고 있다. 중치신능은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상위 20위권에 진입한 주요 고객사다. 엔켐은 이 회사와 올해 말까지 총 5000t의 전해액을 공급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2012년 설립된 엔켐은 중국 내 주요 배터리 업체와의 기술 협력 기반을 다지며 생산거점 기준 30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전기차 수요 부진 속에서 ESS 시장이 주목받자, 중국 내 LFP 전해액 생산을 확대하...
기사 본문
국내 배터리 기업 중 'LFP 양산 경험 유일', LFP 생태계 강화 지원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한다. 사진은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LG에너지솔루션 부스를 찾은 참관객들이 T2X LFP 셀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국내 생산에 본격 착수하며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에 나선다. 글로벌 시장에서 대세로 떠오른 LFP 배터리를 국내에서 직접 양산하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기술 경쟁력 확보와 공급망 자립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청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와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 본격 가동...
기사 본문
전기차 캐즘 뚫을 돌파구 부상 AI 열풍에 ESS 수요 급증 화재위험 작은 LFP비중 90% LG, 2027년 1GWh 생산 목표 韓 배터리 생태계 성장 주도 1조규모 '한전 ESS입찰' 포석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2027년부터 양산한다. 2차전지 수요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ESS 시장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배터리 산업의 자립과 생태계 확장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청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연말부터 오창 에너지플랜트 내 생산라인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7년부터 연간 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LFP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며, 이후 시장 수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LFP 산업 생태계 조성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안보 ...
기사 본문
LG에너지솔루션의 오창 에너지플랜트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올해 말 라인 구축에 착수해 2027년 양산에 돌입할 계획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각광받는 LFP 기반 ESS 생태계를 국내에 본격적으로 이식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강화와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은 1GWh 규모로 시작할 예정이다.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국내 최초로 ESS용 LFP 배터리 생산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 ESS 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