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0원대 고환율 시대, 이달 주요 9개국중 가장 큰폭 올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학개미 투자 늘고 달러 수요 급증 원-달러 보름새 1.4% 뛰어 1453원 “외인 국채 계속 팔땐 1500원 갈수도”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67.7원)보다 10.7원 오른 1457.0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한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한미 관세 협상의 세부 작업이 막바지였던 11월 초 보름 동안 원-달러 환율이 다른 주요국 통화들에 비해 유독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연평균 환율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평균 환율(1394.97원)을 넘어서 사상 처음 1415원대에 올라섰다. 미국 주식을 사들이는 ‘서학개미’들과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들이 늘어 원화 대신 달러화를 찾는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옅어지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달러를 더 사들이고 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14일 원-달러 환율의...
기사 본문
고착화된 高환율 (1) 10년 새 순대외자산 100배 증가…구조적 환율 상승 외화수급 구조적으로 변화…환율 고공행진 올들어 평균 환율 1415원 1998년·2009년보다 더 높아 개인·연기금, 해외투자 확대 순대외자산 10년새 100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후반에서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미국발(發)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정상으로 되돌아올 것으로 여겨졌지만 당국의 잇단 개입에도 환율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가계와 기업은 예상보다 길어지는 고환율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원인에 따른 원화 약세인 만큼 장기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7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15원50전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평균 환율 1394원97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276원35전보다 높았다. 사상 최대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대외 신인도에도 환율이...
기사 본문
서학개미 해외주식 순매수 역대 최고… 외국인도 환전 수요 확대 경상수지 흑자 효과 상쇄될 만큼 달러 쏠림 심화 환율 1500원선 위협… 기업들 내년 경영계획 불확실성 커져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6일 서울 명동거리 환전소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올해 들어 주간 거래 종가가 1450원을 넘긴 날은 총 50일로, 전체 거래일(211일)의 24%에 달했다. [연합뉴스] 서학 개미와 외국인 투자자 모두 달러 자산으로 발길을 돌리며 ‘탈(脫) 한국’ 흐름이 거세지고 있다. 국내 자금의 해외 유출이 역대급으로 불어나고, 외인까지 환전 수요를 키우자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위협하고 있다. 1500원은 심리적 마지노선이다. 급격한 달러 쏠림 속에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되며 기업들은 내년 경영 전략 수립에 애를 먹고 있다. 고환율 장기화… ‘최약체’된 원화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주간 거래 종가가 1450원을 넘긴 날은 총 50일로, 전체 거래일(2...
기사 본문
1475원까지 오르자 “국민연금과 논의” 3분기 해외투자 절반 사실상 국민연금 해외투자 큰손 포트폴리오 수정 시사 실현 땐 직접적 달러 여건 개선 가능성 국민 노후자산 인위적 수익률 조정 논란 환율 폭등에 외환당국이 꺼내든 카드는 ‘국민연금’이었다.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 1470원 천장을 뚫고 치솟던 환율은 단숨에 1450원대로 내려왔다. 앞서 연이은 구두개입성 발언에도 끄떡없던 환율이 하루 사이 단숨에 10원 넘게 하락한 것이다. 이에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대비 6.0원 내린 1451.0원에 개장한 뒤 상승 전환해 10시 45분 기준 1458.85원까지 올랐다. 결국 시장을 움직인 건 정부가 국민연금과 환율 안정을 논의하겠다고 언급한 대목이었다. 정부의 해외투자 중심에 있는 국민연금이 해외에서 국내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면 상당 부분의 달러 실수요가 감소해 환율 하락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정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