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10월 중 1.19% 상승

2025년 11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1개
수집 시간: 2025-11-18 04:4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이뉴스24 2025-11-17 14:27:08 oid: 031, aid: 0000981537
기사 본문

부동산원, 수도권 0.6% 올라⋯지방은 보합 기록 10·15대책 시행에 앞서 주택 수요가 몰리면서 지난달 서울 주택 가격이 1.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0.29% 상승해 전월(0.09%)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사진=한국부동산원 ] 특히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1.19% 올라 전월(0.58%)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두드러졌다.서울에서도 성동구가 3.01% 올랐고, 송파구도 2.93% 상승했다. 강동구와 마포구도 2.28%, 2.21% 상승했고, 양천구도 2.16% 올랐다. 경기는 0.34%, 인천은 0.07% 오르면서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0.6%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 및 개발 기대감이 있는 지역 위주로 매수문의 및 거래가 증가하며 상승했다"며 "경기는 평택·이천시 위주로 하락했지만 성남 분당구 및 과천·광명·하남시 위주로 상승...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7 17:19:50 oid: 025, aid: 0003483240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오른 지난달 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집값 상승 폭이 전월의 2배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9월 대비 1.19% 상승했다. 상승률은 전월(0.58%)의 약 2배로, 앞서 6·27 대출규제 시행 전 집값이 크게 올랐던 6월 상승률(0.95%)을 웃도는 수준이다. 사진은 1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지난달 서울 집값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로 매수세가 급증하면서 전월의 2배 수준으로 올라 7년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 매매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1.19% 상승했다. 이는 전월 0.58%의 약 2배 수준으로, 지난 6월 대출규제 시행 직전 집값이 급등했던...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17 14:05:15 oid: 374, aid: 0000475290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제공=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오른 지난달 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집값 상승 폭이 전월의 2배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9월 대비 1.19% 상승했습니다. 상승률은 전월(0.58%)의 약 2배로, 앞서 6·27 대출규제 시행 전 집값이 크게 올랐던 6월 상승률(0.95%)을 웃도는 수준입니다. 서울 아파트를 별도 산출한 매매가격지수는 1.43% 상승해 전월(0.58%) 대비 오름폭 확대가 두드러졌고 가격 상승이 가팔랐던 6월(1.44%) 수준에 육박했습니다. 10·15 대책 발표를 앞두고 규제지역 지정설이 파다했던 한강벨트권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렸고, 대책 발표 이후에도 2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적용(20일) 전까지 막판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수요가 집중돼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1-17 14:00:00 oid: 215, aid: 0001231200
기사 본문

10월 전국 집값이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이어가며 매매·전세·월세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 ‘2025년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29% 상승했다. 수도권은 0.60%로 상승 폭이 확대됐고, 서울은 1.19% 올라 1%대를 기록했다. 지방은 0.00%로 보합이었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지수는 0.18% 올랐고 수도권 0.30%, 서울 0.44%, 지방 0.07%로 모두 상승했다. 월세가격지수도 전국 0.19%, 수도권 0.30%, 서울 0.53%, 지방 0.09%를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1.19%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경기는 0.34%로, 평택·이천시 등 일부 지역은 약세였으나 성남 분당구, 과천·광명·하남시 등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나타났다. 인천(0.07%)은 서·동·부평구를 중심으로 상승 전환했다. 서울 강북 14개 구 가운데 성동구(3.01%)는 행당·응봉동 대단...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