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트닉 마음 움직인 김정관 장관의 문자는?…한미협상 결정적 순간

2025년 11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1-18 04:28:5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TV조선 2025-11-17 15:00:18 oid: 448, aid: 0000571148
기사 본문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미 관세협상 팩트시트 및 MOU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과정의 뒷이야기를 털어놨다. 김 장관은 1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진짜 터프(Tough)한 분은 러트닉 상무장관"이라며 "아주 직설적이다. 협상하다가 불리하면 그 자리에서 일어나 버린다. '너와 더 이상 대화할 필요 없다. 나는 네 말 안 듣겠다'는 식으로 나온다"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의 마음을 움직이게 한 계기는 9·11 추모식이었다.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이 자신이 열심히 사는 이유를 9·11 테러로 숨진 동생과 직원들의 몫까지 살아야 하기 때문이라며 매년 9·11 때마다 추도 예배를 한다고 했다"면서 러트닉 장관이 문자를 보내도 답이 없는 등 협상 난항 때 이 말을 떠올렸다고 했다. 김 장관은 "그때 러트닉 장관의 9·11 사연이 생각나 '협상은 협상인데, 당신이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16 17:27:12 oid: 015, aid: 0005211958
기사 본문

트럼프도 언급한 ‘거친 협상가’ 김정관 “공정한 건 없다”… 한·미 협상 속내 공개 화상 너머로 건네진 악수… ‘긴 싸움’이 끝났다 협상 뒤엔 조선업의 힘… "실력 키우는 게 우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우리가 하고 싶었던 협상이 아니었고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말씀하셨다시피 이번 한·미 협상은 버텨내는 과정이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지난 14일 관세협상 백브리핑에서 이렇게 말했다. 취임 119일을 보내는 동안 그는 한국 관세협상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대면으로는 최소 21차례, 온라인으로는 3번 만났다. 미국은 매번 "투자를 받아내지 못하면 관세를 내면 된다"며 협상팀을 압박했다. 협상은 '신발끈을 고쳐 매며 마음을 다잡는 과정'이었다는 게 김 장관의 설명이다. ① 취임 이틀 만에 스코틀...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17 06:55:10 oid: 023, aid: 0003941401
기사 본문

김정관 산업장관이 밝힌 관세협상 결정적 순간들 관세 협상 마무리 후 첫 인터뷰 지난 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본지와 인터뷰하며 취임 후 100여일간 한미 관세 협상을 이끈 소회를 설명하고 있다. /장련성 기자 “협상 얘기는 안 하겠다. 9·11 추모식만 참석하겠다.” 지난 9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 장관에게 보낸 이 문자는 한·미 관세 협상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양국은 7월 말 큰 틀의 합의를 이뤘지만, 미국이 8월 초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에 대해 ‘전액 현금 선불’을 요구하면서 협상이 틀어졌다. 러트닉은 김 장관이 보낸 수십 통의 문자도 무시했다. 그러던 중 9·11을 계기로 보낸 김 장관의 문자에 “네, 고마워요(Yes, Thank you)”라는 뜻밖의 회신이 왔다. 김 장관은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본지와 한 인터뷰에서 “약 100일간 대면·화상을 합쳐 러트닉과 30차례 협상했는데 결국 9·11 추모식이 결정적...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7 10:54:07 oid: 079, aid: 0004086553
기사 본문

핵심요약 협상 타결의 순간…정상회담 오전, 美이 '최후 통첩'으로 받아들인 그 문자 협상 첫 분기점은 '9·11 추도식'…직후 "내일 시간 있느냐" 투자위 트럼프 결정권에 "어떻게 하지 못했다"…LMO 우려에 "절차 효율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종민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 협상의 타결 직후 제기된 '국회 비준' 논란에 대해 비준은 법적으로 따지면 법적 구속력이 없는 것"이라며 "굳이 비준을 하면 전략적으로 우리가 손발을 묶는 것과 똑같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1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비준한다는 소리는 제 생각에는 권투선수가 링에 올라가는데 저쪽은 자유롭게 하는데 우리는 손발을 묶는 것과 똑같다"며 "예를 들면 (수익 배분을) 5:5로 한다, 이런 부분이 앞으로 협상하면서 논의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법으로 비준한다는 소리는 5:5를 딱 지키라는 것과 똑같은 못 박는 꼴"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재정적 부담 같은 건 특별법 만들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