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변동금리 또 오른다…10월 코픽스 0.05%p 상승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코픽스 추이 [은행연합회 제공]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두 달 연속 올랐습니다. 은행연합회는 오늘(17일)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2.57%로, 지난달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2.84%로 0.05%포인트, 신 잔액 기준은 2.48%로 0.01%포인트 각각 떨어졌습니다. 코픽스는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을 반영하는 지수로, 특히 신규취급액 기준은 시장금리 변화가 신속하게 반영돼 주담대 금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지난해 10월부터 11개월 연속 하락했던 코픽스는 9월 반등 이후 다시 상승 흐름을 보이며 변동형 주담대 금리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은행연합회는 "코픽스 연동 대출을 받고자 하는 경우 (시장금리 변동) 특징을 충분히 이해한 후 신중하게 대출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은행연합회 #주담대 #대출금리 #코픽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기사 본문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두 달 연속 상승세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7일 서울시내 시중은행에 주택담보대출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최근 은행채 금리가 올라가면서 이를 반영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5대 은행의 주담대 5년 고정금리(주기·혼합형)는 3.74~6.04%로 집계됐다. 6개월 변동금리는 3.77~5.97%로 나타났다. 주담대 고정금리 상단이 6%를 넘어간 것은 지난 2023년 12월 이후 2년여 만이다. 2025.11.17.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57%로 전월대비 0.05%p 상승했다. 지난 9월 0.03%p 올라 1년 만에 반등한 뒤 지난달에도 상승세를 지속한 것이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2.89%에서 2.84%...
기사 본문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 8월 2.49%→10월 2.57%↑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으로 추가적 상승 전망 혼합형 이어 주담대 변동금리 상단도 6% 넘어설듯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2개월 연속 올랐다.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가 8월 2.49%에서 10월 2.57%로 두 달 새 0.05%오르면서, 순차적으로 주담대 금리 상승을 예고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 주담대 혼합형 금리 상단이 6%를 넘어선 가운데 변동금리는 상단이 5.97%로 6%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자료=은행연합회) 전국은행연합회는 17일 올 10월 기준 코픽스를 공시했다.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10월중 신규취급액기준)는 2.57%로 전월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또 잔액기준 코픽스(10월말 잔액기준)는 2.84%로 전월대비 0.05%포인트 하락했고, 신 잔액기준 코픽스(10월말 잔액기준)는 2.48%로 전월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코...
기사 본문
10월 코픽스 0.05%P ↑ 9월 상승 전환 후 오름세 이어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의 주거지역 일대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 조달 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시장금리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 변동형 주담대 차주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57%로 9월(연 2.52%)보다 0.05%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부터 내림세를 보이던 코픽스는 11개월 만인 지난 9월 상승 전환했고 10월에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2.89%에서 2.84%로 0.05%포인트 낮아졌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