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벌떼입찰로 총수 2세 부당이득 '우미' 과징금 철퇴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공정위, 우미건설 법인 고발 조치 5개 계열사에 4997억원어치 부당지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공 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을 따내기 위해 총수 2세 회사를 포함한 5개 계열사에 5000억원 규모의 부당이익을 제공한 '우미'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우미건설에 과징금 483억7900만원을 부과한다고 17일 밝혔다. 우미건설 법인에 대해서는 검찰에 고발 조치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우미는 2017년부터 자신이 시행하는 12개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주택건설 실적이 없는 계열사를 비주관시공사로 선정해 총 4997억원에 달하는 물량을 제공했다. 우미는 2010년대부터 낙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계열사를 다수 동원해 편법 입찰하는 이른바 '벌떼입찰' 등으로 공공택지를 확보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16년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요건에 '주택건설실적 300세대'를 추가하는 등 관련 요건을 강화했다. 우...
기사 본문
계열사 5곳에 4997억원 상당 물량 제공 최장관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감시국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우미 소속 회사들이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인 주택건설 실적 300세대를 충족시켜 줄 목적으로 총수 2세를 포함한 5개 계열회사에 일감을 제공하는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483억 7900만 원을 부과하고 우미건설을 고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뉴시스 [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을 맞추기 위해 계열사에 대규모 공사 물량을 몰아준 우미그룹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위는 우미의 부당 지원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483억7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우미건설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별로 보면 우미건설 92억4000만원, 우미개발 132억1000만원, 우미글로벌 47억8000만원, 우미산업개발 15억6600만원, 명선종합건설 24억2400만원, 전승건설 33억7000만원, 명일건설 7억900만원, 청진건설 ...
기사 본문
공정거래위원회가 전국 시공능력평가 21위인 우미건설이 일명 '벌떼입찰'에 계열사를 동원하기 위해 5개 계열사에 부당하게 일감을 몰아준 행위를 적발했습니다. 벌떼입찰이란 공공택지 입찰에 유령법인 또는 계열사 참여시켜 택지를 낙찰하는 방식으로, 이후 특정계열사에 전매하는 등 기업의 사익편취나 경영권 승계 일환으로 악용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부당지원 과정에서 개별 계열사의 공사 역량이나 사업 기여도와는 무관하게 실적이 필요한 계열회사 중 관련 세금을 가장 적게 내는 업체를 선정했으며 심지어 아직 건축공사업 면허조차 없는 업체를 시공사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오늘(17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업집단 우미 소속 회사들이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인 '주택건설 실적 300세대'를 충족시켜 줄 목적으로, 총수 2세 회사를 포함한 5개 계열회사에 상당한 규모의 공사일감을 제공한 행위를 적발하고 고발 조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83억 7천900만원도 부과합니다. 우미그룹은 공공...
기사 본문
계열사 5곳에 4997억 상당 물량 제공 시공사로 면허 없는 업체 선정하기도 "그룹 본부가 기획·지시…법인 고발" [서울=뉴시스] 우미건설.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공택지 벌떼입찰을 계속하기 위해 계열사에 5000억원 규모의 공사 물량을 부당하게 몰아준 우미건설을 제재했다. 공정위는 17일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우미건설에 과징금 483억7900만원을 부과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우미건설은 지난 2010년부터 공공택지 입찰에 다수 계열사를 동원하는 '벌떼입찰'에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벌떼입찰에 대한 비판이 커지면서 공공택지 입찰 요건이 강화되자 계속해 벌떼입찰에 동원하기 위해 계열사에게 일감을 제공했다. 지난 2016년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요건을 강화해 주택건설실적 300세대를 갖춘 업체만 1순위로 입찰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했는데, 이를 충족시키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미건설은 2017년부터 자신들이 시행하는 12개...
기사 본문
공공택지 ‘벌떼입찰' 위해 실적 없는 계열사에 대규모 공사 제공 공공택지 1순위 맞추려··· “실적 필요한 회사에 몰아줘라” 본부 지시 총수 2세 회사에도 880억 지원··· 5년 만에 117억 차익 우미건설 회사 로고. 사진 제공=우미건설. [서울경제]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을 맞추기 위해 실적이 전무한 계열사들에게 약 5000억 원 규모의 아파트 공사물량을 몰아준 우미그룹과 중견건설사 우미건설이 공정위 제재를 받게 됐다. 총수 2세가 지분 100%를 보유한 신설 법인까지 지원 대상으로 포함했는데, 해당 회사는 불과 5년 만에 117억 원의 매각차익을 남기고 지분을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징금 규모가 약 500억 원으로 건설사 대상으로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7일 기업집단 우미그룹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483억 7900만 원을 부과하고, 핵심 계열사인 우미건설을 형사 고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재는 특정 계열사의 입찰자격을 인위적으로...
기사 본문
공정위, 우미그룹에 시정명령·과징금 부과…檢 고발도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요건 위해 계열사에 공사 제공 이후 275건 공공택지 입찰 부당 참여…2건 낙찰 "입찰자격 만들어주기 위한 지원도 '부당 지원행위'" [세종=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계열사들을 ‘벌떼입찰’에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공사 일감을 몰아주는 등 ‘부당지원’ 행위를 한 우미그룹에 480억원이 넘는 과징금이 부과됐다. 상봉역5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조감도(사진=우미건설) 공정거래위원회는 17일 기업집단 우미그룹 소속 회사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총 483억 7900만원을 잠정 부과하고, 우미건설 법인을 검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아파트 브랜드 ‘우미린’을 보유하고 있는 우미그룹은 2010년대부터 공공택지 입찰에 다수의 계열사를 동원하는 벌떼입찰에 참여해 왔다. 그러던 중 벌떼입찰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고, 실제 사업 능력이 없는 업체가 공공택지...
기사 본문
5개 계열사에 4천997억원어치 부당지원…벌떼입찰 규제 '우회' 총수 2세 회사에도 880억원어치 일감…5년 만에 117억원 차익 '엑시트' 우미건설 '린' [우미건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아파트 브랜드 '린(Lynn)'으로 유명한 중견기업집단 '우미'가 2세 회사를 포함한 계열사에 대규모 공사 물량을 몰아줬다가 수백억원대 과징금을 받고 검찰 수사까지 받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부당지원)로 우미건설 법인을 검찰에 고발한다고 17일 밝혔다. 과징금 부과 액수는 총 483억7천900만원이다. 회사별로 보면 우미건설 92억 4천만원, 우미개발 132억1천만원, 우미글로벌 47억 8천만원, 우미산업개발 15억6천600만원, 명선종합건설 24억 2천400만원, 전승건설 33억 7천만원, 명일건설 7억900만원, 청진건설 7천300만원, 심우종합건설 65억4천200만원, 우미에스테이트 25억 1천400만원, 명상건설 39억 5천...
기사 본문
총수 2세 회사 포함 5개 계열사에 4997억 원 규모 공사물량 부당 제공 공공택지 1순위 입찰자격 인위적 충족 "시장 질서 심각히 훼손" 우미그룹 제공 아파트 브랜드 '우미 린(Lynn)'으로 유명한 기업집단 '우미'가 총수 2세 소유 회사를 포함한 계열사 5곳에 대규모 공사 물량을 몰아줘 공공택지 1순위 입찰자격을 꼼수 충족하는 수법을 썼다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위는 시정명령과 함께 부당 이득을 얻은 계열사 등에 총 483억 7900만 원의 과징금을 잠정 부과하고, 우미건설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우미그룹은 2017년부터 자신들이 시행하는 12개 아파트 공사현장에 주택건설 실적이 없거나 부족한 계열회사들을 비주관시공사로 선정하고, 총 4997억 원 규모의 공사 물량을 나눠줬다. 이는 자신의 계열사들을 공공택지 입찰 1순위 자격 법인으로 만들어 소위 '벌떼입찰'을 계속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2010년대부터 우미는 추첨방식...
기사 본문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집단 우미에 과징금 483억을 부과하고 우미건설은 검찰에 고발했다. 여러 계열사를 동원한 이른바 ‘벌떼 입찰’을 위해 특정 계열사를 부당지원한 혐의다. 공정거래위원회 로고. 뉴스1 17일 공정위는 기업집단 우미가 계열사를 부당지원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483억7000만원을 부과하고, 우미건설을 고발한다고 밝혔다. 우미는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을 만들어 주기 위해 총수 2세가 소유한 회사를 포함한 계열사에 5000억원의 공사 물량을 부당하게 몰아준 혐의를 받고 있다. 우미는 공공택지 아파트 건설과 분양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집단으로, 우미건설과 우미개발 등을 핵심 계열사로 두고 있다. ‘우미 린(Lynn)’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공정위에 따르면 우미는 2010년부터 공공택지 입찰 과정에서 다수 계열사를 동원하는 벌떼 입찰 방식을 활용했다. 2016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벌떼 입찰 방식을 규제하려고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요건을 주택건설 실적 30...
기사 본문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뉴스1 [파이낸셜뉴스]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업집단 우미 소속 회사들이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자격인 주택건설 실적 300세대를 충족시켜 줄 목적으로, 총수 2세 회사를 포함한 5개 계열회사에 상당한 규모의 공사일감을 제공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483억7900만원(잠정)을 부과하고 우미건설을 고발하기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우미는 공공택지 아파트 건설과 분양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집단으로 아파트 브랜드 우미 린(Lynn)을 보유하고 있다. 우미는 2010년대부터 공공택지 입찰에 다수의 계열사들을 동원하는 소위 벌떼입찰에 적극 참여했다. 그러던 중 벌떼입찰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고, 실제 사업능력 없는 업체가 공공택지에 당첨되는 사례들이 많아지면서 2016년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공택지 1순위 입찰 요건을 강화해 주택건설실적 300세대를 갖춘 업체만 1순위로 입찰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개선했다. 우미는 이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