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올 신용대출 2조 줄어"

2025년 11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1-18 00:05:4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매일경제 2025-11-17 17:54:12 oid: 009, aid: 0005591548
기사 본문

'빚투 옹호 논란' 에 해명나서 금융위원회가 올해 들어 전 금융권 신용대출이 10월까지 2조원 순감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17일 해명했다. 최근 "'빚투'도 레버리지의 일종"이라는 권대영 부위원장 발언에 이어 이억원 위원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신용대출 증가세가 건전성에 위협을 줄 정도가 아니라고 말한 것이 논란이 되자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위는 이날 "빚투의 경우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며 "투자자 본인이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것은 금융위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위는 최근 신용대출 증가세는 계절적 요인이 있다면서 올해 들어 10월까지 누적으로 2조원이 감소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윤재 기자]


더팩트 2025-11-17 10:45:08 oid: 629, aid: 0000444327
기사 본문

코스피 사상 최고(4221.87)와 맞물려 '빚투' 재점화 10월 전금융권 가계대출 +4.8조, 은행 '기타대출' +1.6조(신용대출 +0.9조) 코스피가 전 거래일(4107.50)보다 2.78%(114.37포인트) 오른 4221.87에 마감한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종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코스피 4200 랠리의 그늘로 은행권 신용대출이 단기간 가팔라졌다. 11월 첫 주 5대 은행 신용대출이 약 1조2000억원 가까이 늘었고, 10월엔 은행 '기타대출'이 증가로 돌아섰다. 당국은 총량 관리 기조를 유지하되 용처·속도 점검과 심사 강화로 레버리지 과열을 막겠다는 입장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용대출 단기 급증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7일 기준 105조9137억원으로, 10월 말(104조7330억원) 대비 1조1807억원 증가했다. 불과 일주일 만에 10월 한 달...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17 12:33:08 oid: 119, aid: 0003025896
기사 본문

1~10월 지난해 대비 신용대출 2조 감소 금융위, “계절적 증가 구간 속에서도 흐름은 안정적” 일일 모니터링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강조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지난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위 출입기자단 월례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금융권의 신용대출 증가세와 ‘빚투’ 논란이 맞물려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금융당국이 “과거 평균에 비해 신용대출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자료를 내고 “올해 1~10월 전 금융권 신용대출(누적)은 지난해 대비 2조원 순감했다”며 “과거 평균 증가 규모(약 9.1조원)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보기 부동산 막히자 주식 '빚투'로 쏠렸다…신용대출 한 달 새 1조원 '쑥' https://www.dailian.co.kr/news/view/1569777 대출 억눌러도 ‘빚투’에 속수무책인데…“신용대출 급증 괜찮다”는 금융위 htt...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17 14:47:10 oid: 088, aid: 0000981655
기사 본문

금융위, 시장 과열 우려에 자료 발표..."건전성 위협할 정도는 아니야" 진화 나서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7.00p 오른 4,078.571로 시작했다. 연합뉴스 최근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다시 고개를 들며 증권사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6조원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월 중 주춤했던 가계 신용대출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시장 일각에서 과열 우려가 나오자 금융당국이 거시건전성을 위협할 중대 위험 요인은 아니라며 선제적 진화에 나섰다. 17일 금융위원회는 '최근 신용대출·신용거래융자 동향 및 리스크 관리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가계 신용대출은 올 1~10월 누적으로 2조원 순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2024년 10년간 같은 기간 평균 9조1천억원이 증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안정적인 수치다. 다만 10월 한 달간 9천억원이 늘어나며, 1조6천억원이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17 14:02:09 oid: 011, aid: 0004556760
기사 본문

“신용대출 변동성 선제 대비 중” 주식 빚투엔 “절대 규모는 증가” “엄격한 리스크 관리 수반돼야” [서울경제]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가 26조 원을 돌파하며 최고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위원회가 “전체 금융권 신용대출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최근 금융당국 수장들에게 제기된 ‘빚투 두둔’ 논란을 재차 해명했다. 금융위는 17일 ‘최근 신용대출·신용거래융자 동향 및 리스크 관리 현황’을 발표하며 “전 금융권 신용대출은 올 1~10월 2조 원 순감해 과거 평균(2015~2024년 1~10월 평균 9조 1000억 원 증가)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알렸다. 이어 “지난달 신용대출(+9000억 원)이 전월(-1조 6000억 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으나 통상 10~11월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신용대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통상 신용대출은 상여금 등의 영향으로 3월까지 감소하고, 8월 휴가철과 10~11월에 증가폭이 확대되는 계절성을 보인다”고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17 11:55:10 oid: 003, aid: 0013604445
기사 본문

"빚투, 감내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 수반돼야"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에서 직원이 사무실을 오가고 있다. 2025.09.25.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금융위원회가 '빚투(빚내서 투자)'에 해당하는 신용거래융자의 증가로 전체 가계부채 증가를 견인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증권사 모니터링 강화 등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17일 보도 참고자료 '최근 신용대출·신용거래융자 동향 및 리스크 관리 현황'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금융위는 '빚투'의 경우 투자자 본인이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일관되고 확고한 입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금융위는 "증시 활성화 등으로 신용거래융자의 절대 규모가 증가했다"며 "증권사별 총량제한, 보증금율·담보비율 제한, 고객·종목별 한도 차등 등을 통해 신용거래융자의 리스크를 면밀히 관리 중"...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17 11:29:10 oid: 374, aid: 0000475242
기사 본문

금융당국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규모 및 소위 ‘빚투’ 증가 현상과 관련해 "과거평균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7일)  최근 신용대출 및 신용거래융자(증권사의 개인투자자 매수예정 증권 담보대출) 동향과 리스크 관리현황을 밝히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금융위에 따르면 금융권 신용대출은 올들어 1월부터 10월까지 2조원 순감했습니다. 이는 최근 10년 동안 같은기간 신용대출 규모가 평균 9.1조원 증가한 것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것이 금융위 설명입니다. 10월 한 달 동안 신용대출이 약 9000억원 늘며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한 데 대해서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경향으로 풀이했습니다. 앞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신용대출이 전체적인 가계부채의 증가를 견인한다든지 건전성에 위협을 준다든지 그런 정도는 아닌데 잘 살펴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6·27 대책을 통해 신용대출 취급 한도를 차주...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17 15:13:09 oid: 016, aid: 0002558877
기사 본문

“10월 신용대출 증가는 계절적 요인”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을 찾은 고객들이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금융위원회가 ‘빚투(빚내서 투자)’에 대해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금융위는 신용대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17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소위 빚투의 경우 투자자 본인이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 금융위의 일관되고 확고한 입장”이라고 전했다. 먼저 금융위는 신용대출이 과거 평균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점을 역설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 금융권 신용대출은 2조원 순감했다. 10월 신용대출이 9000억원 늘며 전월 대비 증가 전환했으나 통상 10~11월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신용대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위는 그러면서 “최근 이억원 위원장의 발언도 전체 가계부채 중 최근의 신용대출 증가추이가 거시건전성...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