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 정보 장벽 낮춘다…영문공시 의무 265개사로 확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융위원회.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상장사 영문공시 의무 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주주총회 공시와 임원보수 공개 기준도 한층 강화한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 공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영문공시 의무 대상이 늘어난다. 현재는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111개사만 대상이지만, 내년부터는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약 265개사로 대상이 크게 늘어난다. 제출 기한도 단축된다. 기존에는 국문 공시 후 3영업일 이내 제출하면 됐지만, 자산 10조원 이상 대형사는 당일 제출 원칙으로 바뀐다. 나머지 기업도 3영업일 내 제출하도록 해 기한을 점진적으로 줄인다. 주주총회 관련 공시도 크게 달라진다. 지금까지는 기업이 의안별 가결 여부 정도만 공시했지만, 내년 3월 주총부터는 안건별 찬성·반대·기권 비율과 의결권 있는 주식 수까지 당일 공시해야 한다. 주총 집중을 완화하기 위...
기사 본문
금융위원회가 상장사 임원이 받는 보수의 산정 근거와 규모를 공시하도록 하는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16일 발표했다. 개선안에 따르면 상장사는 최근 3년간 총주주수익률(TSR), 영업이익 등 기업 성과와 보수총액을 비교 공시해야 한다.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등 주식기준보상도 보수총액에 포함해 공시하고, 미실현 보상의 현금환산액도 병기해야 한다. 현재는 보수 산정근거를 ‘업무 수행 결과 고려’ 등으로 기재하는데 내년 5월부터는 이런 규정을 따라야 한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주주 권익 제고 방안도 마련됐다. 내년 3월부터는 주주총회 의안별 가결 여부뿐 아니라 찬성·반대·기권 비율 등을 당일 공시해야 한다. 3월 하순에 90% 이상이 몰린 주총을 분산하기 위해 4월 개최 기업에는 공시우수법인 가점 등 인센티브도 부여한다.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영문공시 대상은 현행 ‘자산 10조원’ 이상에서 내년 5월부터 ‘자산 2조원’ 이상으로, 2028년까지는 코스피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기사 본문
상장사가 임원들에게 지급하는 보수 산정 근거와 규모를 주주들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시 기준이 강화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어제(16일) 이런 내용의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앞으로는 임원 전체 보수 총액 공시 서식에 최근 3년간 총주주 수익률, 영업이익 등을 병기하도록 하고 세부 임원 보수 내역별로 산정 근거를 구체화해 공시합니다. 또 현행 임원 보수 공시서식에 주식기준 보상 규모도 함께 공시하고, 미실현 주식기준보상의 현금 환산액도 적도록 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기사 본문
금융당국, 자본시장 접근성·주주권익 제고 위한 개선방안 발표 2028년까지 코스피 전체 상장사 영문공시 3단계 의무화도 추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와 주주총회 결과 공시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임원보수지급내역 등 주주총회 결과 공시 등을 강화하는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이번 개선 방안은 자본시장 접근성 및 일반주주권익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 "코스피시장 '글로벌 투자금' 유입 늘려라" ━ 현재 영문공시는 2024년 1월부터 시행됐다. 자산 10조원 이상 대규모 코스피 상장사(2024년 기준 111개사)는 주요경영사항 일부(26개 항목)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국문공시를 제출한 뒤 3영업일 안에 영문공시를 제출토록 한다. 2026년 5월1일부터는 영문공시 2단계 의무화를 시행한다. 주주총회 결과의 영문공시는 2026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