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접근성 높인다"…2028년부터 코스닥 기업도 영문공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융위, 공시 개선 방안 발표 내년 자산 2조 코스피 상장사 영문공시 의무화 주총 공시도 강화…안건별 표결·임원 보수 투명 공개 [서울=뉴시스]이지민 우연수 기자 =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 제고와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해 기업 공시 제도를 손질한다. 내년부터 영문 공시 의무화 기업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하고, 2028년에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와 대형 코스닥 기업으로까지 대상을 넓힌다. 또 내년 주주총회부터 안건별 표결 결과와 임원 보수 내역도 한층 투명하게 공개된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을 기존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서 내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 현행 1단계 적용 대상은 111개사며 내년부터는 약 265개사가 영문 공시를 해야 한다. 영문공시 항목은 사실상 자율공시 외 모든 공시로 확대된다. 내년부...
기사 본문
주총 안건별 찬반 비율 공개…임원 주식 보상도 현금 가치 명시 금융위원회가 영문 공시 의무 대상 확대, 주주총회 표결 공개 등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 /사진=뉴시스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주주 권익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 공시 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핵심은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주주총회 표결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하는 것이다. 17일 뉴시스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전날 밝혔다. 가장 큰 변화는 영문 공시 의무화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기업 정보를 얻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은 기존 '자산 10조원 이상'에서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대상 기업은 약 111개에서 265개사로 두배 이상 늘어난다. 오...
기사 본문
상장사가 임원들에게 지급하는 보수 산정 근거와 규모를 주주들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시 기준이 강화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어제(16일) 이런 내용의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앞으로는 임원 전체 보수 총액 공시 서식에 최근 3년간 총주주 수익률, 영업이익 등을 병기하도록 하고 세부 임원 보수 내역별로 산정 근거를 구체화해 공시합니다. 또 현행 임원 보수 공시서식에 주식기준 보상 규모도 함께 공시하고, 미실현 주식기준보상의 현금 환산액도 적도록 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기사 본문
금융당국, 자본시장 접근성·주주권익 제고 위한 개선방안 발표 2028년까지 코스피 전체 상장사 영문공시 3단계 의무화도 추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와 주주총회 결과 공시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임원보수지급내역 등 주주총회 결과 공시 등을 강화하는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이번 개선 방안은 자본시장 접근성 및 일반주주권익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 "코스피시장 '글로벌 투자금' 유입 늘려라" ━ 현재 영문공시는 2024년 1월부터 시행됐다. 자산 10조원 이상 대규모 코스피 상장사(2024년 기준 111개사)는 주요경영사항 일부(26개 항목)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국문공시를 제출한 뒤 3영업일 안에 영문공시를 제출토록 한다. 2026년 5월1일부터는 영문공시 2단계 의무화를 시행한다. 주주총회 결과의 영문공시는 2026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