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올 기술수출 16건 135억달러 달해 1건당 1.2조원···4년새 2.6배 성장 패스트 팔로어 넘어 글로벌 기술 선도 사진 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서울경제]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 평균 계약 규모가 1조 원을 돌파했다. 한미약품이 2015년 업계 최초로 조 단위 계약을 체결하며 초대형 기술수출 시대의 막을 올린 지 10년 만에 거둔 성과다. 글로벌 기업이 국내 신약 개발 기업의 전략적투자자(SI)로 나서고 기술이전된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며 상업화 결실을 맺는 등 K바이오가 ‘질적 도약’을 이뤄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이날까지 체결한 기술수출 계약 건수는 16건, 총계약 규모는 134억 9362만 달러였다. 단순 계산하면 신약 기술수출 1건당 평균 계약 규모가 8억 4000만 달러(약 1조 2226억 원)에 이른다. 기존 기술수출 실적 최고치였던 2021년 109억 8962만 달러...
기사 본문
에이비엘바이오. [뉴스1] 코스피 4000 시대를 맞아 그간 반도체, 방산, 조선 대비 소외를 받던 국내 제약·바이오주가 힘차게 오르고 있습니다. 대형 제약·바이오주가 모여있는 코스닥시장도 모처럼 활기를 찾은 모습입니다. 이같은 제약·바이오 장세가 열릴 수 있게 된 계기는 국내 바이오벤처 기업 에이비엘바이오이 전해온 낭보 덕분입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릴리와 최대 3조80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약물이 혈액 속으로 더 원활하게 침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이중항체 플랫폼인 ‘그랩바디(Grabody)’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은 것인데요. 덕분에 주가도 급상승했습니다. 그랩바디 기술이전 계약 체결 공시 이후 주가는 상한가로 직행했고, 그 다음날도 상한가에 육박하는 29.04%나 오르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덕분에 올초 2만9000원 선이었던 에이비엘바이오의 주가는 최고 19만55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증권가에선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술력을 높게 평...
기사 본문
<상> 兆단위 수출 행진 배경은 올 조단위 기술수출 계약 대부분 일라이릴리·아스트라제네카 몰려 기술이전 70%가 '플랫폼' 공통점 고부가 가치에 R&D 비용도 낮아 유전자치료제 등 특정기술 승부도 [서울경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질적 도약을 이뤘다는 증거는 단순 기술수출 규모 외에도 곳곳에서 드러난다.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기술이전 계약으로 평균 계약 규모가 커졌을 뿐 아니라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아 상업화에 성공한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고 최근에는 국내 기업에 지분 투자를 하는 빅파마까지 등장했다.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대표되는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는 한편 각 기업이 경쟁력을 가진 특정 기술에 집중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 평균 계약 규모는 2017년 약 1억 5000만 달러(약 2183억 원)에서 올해 8억 4000만 달러(약 1조 2226억 원, 이날 기준)로 약 5.6배...
기사 본문
이중항체·피하주사·ADC 플랫폼, 글로벌 제약사 러브콜 집중 에이비엘·알테오젠·리가켐 '초대형 기술수출'로 존재감 확대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국내 바이오 플랫폼 기업이 조단위 '빅딜'을 잇달아 체결하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바이오 플랫폼은 다양한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을 의미한다. 16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일라이 릴리에 '그랩바디' 플랫폼을 기술이전했다. 계약에 따라 회사는 최대 25억6천200만달러(약 3조7천487억원)를 수령한다. 그랩바디는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약물이 필요한 곳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돕는다. 대표적으로 뇌혈관 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는 BBB를 통과하기 어려운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플랫폼이다.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IGF1R)를 통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고 뇌로 전달될 수...
기사 본문
올 기술수출 16건 135억달러 달해 1건당 1.2조원···4년새 2.6배 성장 신약 허가에 빅파마 지분 계약까지 플랫폼과 차별화된 기술 집중 주효 인천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전경. 사진 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서울경제]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 평균 계약 규모가 1조 원을 돌파했다. 한미약품(128940) 이 2015년 업계 최초로 조 단위 계약을 체결하며 초대형 기술수출 시대의 막을 올린 지 10년 만에 거둔 성과다. 글로벌 기업이 국내 신약 개발 기업의 전략적투자자(SI)로 나서고 기술이전된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며 상업화 결실을 맺는 등 K바이오가 ‘질적 도약’을 이뤄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이날까지 체결한 기술수출 계약 건수는 16건, 총계약 규모는 134억 9362만 달러였다. 단순 계산하면 신약 기술수출 1건당 평균 계약 규모가 8억 4000만 달러(약 1조 2226억 ...
기사 본문
에이비엘·알테오젠·리가켐 등 올해 플랫폼 기술수출 최대 13조원 신약 물질보다 적용 범위 넓은 플랫폼, 수출 가속화 일러스트=챗GPT 달리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플랫폼 기술을 중심으로 연이어 기술수출 계약을 따내면서 연간 누적 규모가 역대 최대인 18조원을 넘어섰다. 신약 후보물질 뿐 아니라 여러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이 수출을 이끈 덕분. 업계에서는 연말까지도 추가 성과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제약사를 상대로 체결한 기술수출 계약 규모는 총 18조111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기존 최대 실적이었던 2021년 13조8047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가파른 증가세를 이끈 주역은 에이비엘바이오,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알지노믹스 등 플랫폼 기술 기반 기업들이다. 이들 기업이 올해 체결한 계약 규모만 약 13조원에 달한다. 신약 후보물질은 한 기업에만 독점으로 기술이전...
기사 본문
이달 헬스케어 지수 수익률 1위 에이비엘바이오 기술이전으로 업종 온기 올해 제약·바이오 기술수출 역대 최고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제약․바이오 업종이 이달 높은 수익률을 올리며 증시 랠리에 탑승했다. 기술수출 성과와 임상데이터 발표, 금리인하 사이클을 등에 업고 내년 상반기까지 상승 전망이 제기된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소가 분류하는 28개 KRX 지수 중 ‘KRX 헬스케어’는 이달 10.10% 오르며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KRX 300 헬스케어’(10.09%)가 차지했다. 배당주 수혜로 급등한 KRX 은행(9.25%)보다 제약․바이오 업종의 상승세가 강했다. KRX 헬스케어를 구성하는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셀트리온(11.62%) ▷알테오젠(14.23%) ▷유한양행(7.03%) ▷SK바이오팜(11.6%) ▷에이비엘바이오(58.17%) ▷펩트론(15.53%) ▷리가켐바이오(16.05%) ▷한미약품(12.35%) 등이 강세를 나타냈다. 제약․바이오 ...
기사 본문
'그랩바디-B'로 글로벌 빅파마 3곳과 계약⋯뇌혈관장벽 투과 기술력 입증 일라이릴리 220억 투자 유치⋯"알츠하이머 등 중추신경계 시장 진입 예상" 바이오텍 에이비엘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릴리와 조(兆) 단위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것은 바이오 업계 역사상 세 번째 규모다. 에이비엘바이오의 플랫폼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에이비엘바이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일라이릴리와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규모는 3조8000억원이며, 에이비엘바이오는 이 중 선급금으로 약 585억2800만원을 수령할 예정이다. 계약 규모는 3조8000억원이며, 에이비엘바이오가 받는 선급금은 약 585억2800만원이다. 이로써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만으로도 8조원 규모의 누적 기술이전 성과를 올렸다. 선급금은 미국 반독점법(Hart–Scott–Rodino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