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채무규모·상환능력 초점…소득은 대출한도에 영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저소득 고신용자 200만명 소득 상위 30% 중 664점 이하가 42만명 넘어 하위 30%보다 많아 美도 신용점수 매길때 상환기록 봐 [서울경제] 신용평가사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신용점수는 대출 및 카드 이용 형태(38%)의 비중이 가장 높다. 부채 수준(24%)과 상환 이력(21%)도 중요하다. 추가로 신용거래 기간(9%)과 비금융·마이데이터(8%)를 본다. 소득 수준은 신용점수를 매길 때 직접 반영되지 않는다. 실제로 A시중은행은 소득과 신용등급 사이에 관계가 없다. 일부 은행은 신평사 모델에 자체 모형을 추가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소득을 반영하는데 이 경우에도 비중은 6~9% 안팎에 불과하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대학 교수는 16일 “신용점수는 소득이 변수가 아니라 빌려 쓴 돈을 얼마나 잘 갚았는지가 핵심”이라며 “최근 주목받는 대안 신용평가 역시 성실성을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금의 시장을 가난한 사람이 비싼 이자를 강요받는 ‘금융계급제’라고 규정했...
기사 본문
"취약계층 금리혜택 늘어난 영향"…'금융계급제' 지적에 확대 가능성 은행권 "포용금융 꼭 필요하지만…금리체계 왜곡·고신용자 부담 우려" 신용등급 높은데 금리도 높아…은행권 이례적 '금리 역전' 현상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2022.8.25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은행권에서 신용점수가 높은 대출자에게 적용되는 금리가 점수가 낮은 대출자보다 오히려 더 높은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은행들이 저신용·소득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자 혜택 등 금융 지원을 늘린 결과다. 사회·경제적 약자의 재기를 돕는다는 취지에서 불가피하다는 견해와, 꼬박꼬박 원금·이자를 갚아 신용도를 관리해온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역차별이라는 불만이 엇갈리고 있다. 더구나 정부가 '금융계급제'라는 표현까지 동원해 취약계층 지원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점수별 금리 역전 현상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화면 캡쳐. 재판매 ...
기사 본문
李대통령 “금융 계급제” 지적에… 은행들, 취약층에 잇단 저리 상품 “反시장적 역차별 되레 毒” 우려 은행, 5년간 70조 포용금융 투입… 금융위 “이번주 계획 점검” 압박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계급제’라는 표현까지 쓰며 고강도의 금융 개혁 의지를 내비친 가운데 일부 은행에서는 신용점수가 높은 소비자의 대출 이자 부담이 큰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은행권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이자 경감, 채무 조정 등의 금융 지원을 늘린 결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반(反)시장적 정책’이 금리 체계를 왜곡하고 성실 상환자를 역차별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은행권 금리 역전 현상 ‘속출’ 16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9월 신규 가계대출 기준 NH농협은행의 신용점수 601∼650점 대출자의 평균 금리는 연 6.19%로 600점 이하 대출자(5.98%)보다 0.21%포인트 높았다. 올 8월까지만 해도 600점 이하 대출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는 7.10%였다. 불과 한 ...
기사 본문
정부가 포용금융을 강조하면서 고신용자가 저신용자보다 높은 금리로 대출을 받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은행권에서 신용점수가 더 높은 대출자의 금리가, 낮은 점수의 대출자보다 높은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은행권에서 저소득·저신용자를 위한 포용 금융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은행연합회에 공시된 지난 9월 신규 가계대출 금리를 보면, 신한은행의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신용점수 601~650점 대출자 금리는 평균 연 7.72%다. 600점 이하(연 7.49%)보다 오히려 0.23%포인트 높았다. NH농협은행도 601~650점 대출 금리 평균(연 6.19%)이 600점 이하(연 5.98%)보다 높았다. IBK기업은행도 601~650점 대출자에 600점 이하(연 4.73%)보다 높은 금리(연 5.13%)를 적용했다. 하나은행도 701~750점 대출자 금리(연 4.36%)가 751~800점 금리(연 4.41%)보다 평균 0.05%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