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이렇게 올랐나”… 2년 만에 주담대 금리 6%대 진입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5개
수집 시간: 2025-11-17 03:57:4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일보 2025-11-16 10:38:10 oid: 023, aid: 0003941242
기사 본문

서울 시내 한 은행에 개인대출 상담을 위한 번호표 기계가 설치돼 있다. /뉴스1 최근 시장 금리가 뛰면서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도 2년 만에 연 6%대까지 올라섰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 조치로 대출 한도가 확 줄었는데, 금리까지 오르며 은행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93∼6.11% 수준이다. 지난 8월 말의 연 3.46∼5.54%와 비교하면 금리 범위 하단은 0.47%포인트, 상단은 0.57%포인트 높아졌다.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6%대까지 올라선 건 2023년 12월 이후 2년 만이다.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은 대출을 받은 뒤 5년간은 고정 금리로 상환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은 변동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설정할 때 기준으로 삼는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금리도 덩달아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채 5...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17 02:06:08 oid: 005, aid: 0001814835
기사 본문

이 대통령 ‘금융 계급제’ 문제의식 은행들, 고신용자보다 낮게 매겨 주담대 금리는 2년 만에 6%대로 16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상품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0~6.060%로 집계됐다. 주담대 금리가 6%를 넘은 것은 약 2년 만이다. 연합뉴스 은행권에서 저신용자의 가계대출 금리가 고신용자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는 연 6%를 넘겼다.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1% 포인트나 높았던 2년 전 수준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 계급제’라는 표현까지 쓰며 취약층 지원을 강조하고 금융 당국이 부동산 시장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대출을 죄면서 시장 원리가 흔들리는 모양새다. 1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지난 9월 신용 600점 이하인 금융 소비자에게 평균 연 5.98%의 금리로 가계대출을 내줬다. 신용 601~650점 구...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6 17:26:30 oid: 025, aid: 0003482958
기사 본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최고 연 6%대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옅어지면서, 시장금리가 먼저 급등한 영향이다. 금리 인상에 기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신규 대출자의 한도도 줄어들 전망이다. ━ 혼합형 주담대 약 2년 만에 6%대 16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에 따르면 14일 기준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6.06%다. 8월 말(연 3.46∼5.546%)과 비교해 대출 금리의 상단은 0.514%포인트 하단은 0.47%포인트 높아졌다. 4대 은행의 주담대 혼합형 금리가 최고 연 6%를 넘어선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준금리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던 시기다.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뉴스1 4대 은행의 만기 1년 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도 ...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16 00:03:11 oid: 629, aid: 0000444150
기사 본문

'매파 발언' 이창용 한은 총재…금리 인하기 종료될까 해외 언론과 인터뷰서 '방향 전환' 언급…시장서 '금리 인하 종료'로 해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상>편에 이어 [더팩트ㅣ정리=문화영 기자] -다음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후폭풍 소식입니다. 이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기에 접어들었다는 이야기를 지속해오다가 '방향의 변화'를 언급하면서 채권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이 총재의 말을 기준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면서 국채를 매각하려는 수요가 늘어나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요. 한은 부총재보가 이 총재의 말이 금리 인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해명을 하며 급히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사실상 종료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최근 이 총재가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을 했다면서요. -이 총재는 지난 12일 블룸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