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23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6%대로 치솟았다. 정부가 부동산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데다 시장금리도 상승한 탓으로 분석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혼합형 주담대 금리(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는 연 3.930∼6.060%다. 두어 달 전인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하면 상단이 0.514%포인트, 하단이 0.470%포인트 높아졌다. 4대 은행에서 6%대 금리가 등장한 건 2023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금리가 뛴 것은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으며 주담대 금리도 덩달아 올라갔다. [안정훈 기자]
기사 본문
이 대통령 ‘금융 계급제’ 문제의식 은행들, 고신용자보다 낮게 매겨 주담대 금리는 2년 만에 6%대로 16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상품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0~6.060%로 집계됐다. 주담대 금리가 6%를 넘은 것은 약 2년 만이다. 연합뉴스 은행권에서 저신용자의 가계대출 금리가 고신용자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는 연 6%를 넘겼다.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1% 포인트나 높았던 2년 전 수준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 계급제’라는 표현까지 쓰며 취약층 지원을 강조하고 금융 당국이 부동산 시장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대출을 죄면서 시장 원리가 흔들리는 모양새다. 1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지난 9월 신용 600점 이하인 금융 소비자에게 평균 연 5.98%의 금리로 가계대출을 내줬다. 신용 601~650점 구...
기사 본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최고 연 6%대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옅어지면서, 시장금리가 먼저 급등한 영향이다. 금리 인상에 기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신규 대출자의 한도도 줄어들 전망이다. ━ 혼합형 주담대 약 2년 만에 6%대 16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에 따르면 14일 기준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6.06%다. 8월 말(연 3.46∼5.546%)과 비교해 대출 금리의 상단은 0.514%포인트 하단은 0.47%포인트 높아졌다. 4대 은행의 주담대 혼합형 금리가 최고 연 6%를 넘어선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준금리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던 시기다.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뉴스1 4대 은행의 만기 1년 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도 ...
기사 본문
'매파 발언' 이창용 한은 총재…금리 인하기 종료될까 해외 언론과 인터뷰서 '방향 전환' 언급…시장서 '금리 인하 종료'로 해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상>편에 이어 [더팩트ㅣ정리=문화영 기자] -다음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후폭풍 소식입니다. 이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기에 접어들었다는 이야기를 지속해오다가 '방향의 변화'를 언급하면서 채권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이 총재의 말을 기준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면서 국채를 매각하려는 수요가 늘어나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요. 한은 부총재보가 이 총재의 말이 금리 인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해명을 하며 급히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사실상 종료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최근 이 총재가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을 했다면서요. -이 총재는 지난 12일 블룸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