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정년 65세 연장 추진…입법 시기는 불투명[프리즘]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1-17 03:0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1-16 10:03:18 oid: 422, aid: 0000802040
기사 본문

[앵커] 만 60세인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방안이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당내 특위를 본격 가동하며 법안 마련에 착수했는데요. 다만 노사 간 입장 차가 입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홍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법정 정년 연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자 국정과제입니다.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가 늦춰지면서, 정년과 연금 수급 시기 사이 소득 공백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대통령은 앞서 65살까지 정년을 연장하는 법안을 올해 안에 입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도 정년 연장 특별위원회를 출범하며 본격적인 공론화에 나섰습니다. <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지난 3일)> "정년 연장은 고령자 소득 공백을 메우고 연금 재정을 안정시키며 숙련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안입니다." 법정 정년을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법안은 범여권을 중심으로 이미 여러 건 발의돼있습니다. 정년을 65세 이상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16 10:04:09 oid: 422, aid: 0000802041
기사 본문

[앵커] 정년 연장 문제는 자연스럽게 노사간 견해차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노동계는 국민연금 수급 나이에 맞춰 정년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경영계에서는 고용과 비용의 문제를 들어, 제도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양측의 입장 차를 장한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앵커] 노동계는 은퇴 후 찾아올 소득 공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년 연장 입법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젠 합의를 넘어 실행에 옮길 때가 됐다는 입장입니다. <김동명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지난 5일)> "최고령 사회에서 정년 연장 없이는 노년층의 빈곤 문제, 소득 공백의 악순환을 끊기 어렵고, 지금 대비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러야 합니다." 지지부진한 논의 속도에 연내 입법을 시한으로 못박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경영계는 고용 연장이 불러올 부담에 곤혹스러운 모습. 한국경제인협회가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60~64세 근로자 고용을 연장할 경우 연간 30조2천억...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16 18:29:12 oid: 014, aid: 0005435110
기사 본문

정년연장방식 등 놓고 대치 심화 勞 "고령자 고용·소득 불안 해소" 使 "청년 고용·신규 일자리 위축" 정치권 결단 가능성 높아 여론전 최근 논의에 불이 붙은 정년연장 여부 및 방식을 두고 노사 간 대치가 지속되고 있다. '유연성이 먼저냐, 안정성이 먼저냐'를 두고 양측의 지난한 의견충돌이 되풀이되는 양상이다. 경영계는 미래세대 일자리 부작용을 이유로 유연한 계속고용 방식을, 노동계는 고령자 고용·소득 불안 방지를 위한 보편적·일률적 법정 정년연장을 주장하는 등 입장이 확연하게 엇갈린다. 양측 모두 최근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여론전에 나서는 등 대치가 심화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노사 간 정년연장 관련 사회적 합의는 현실적으로 무산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정치권이 결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유연성 vs 안정성 16일 경영계·노동계에 따르면 정년연장 여부·방식을 두고 노사 간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정년연장 입법 재고를 호소하고 있는 경영계는 고용·노동 유연성 선...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16 17:00:17 oid: 014, aid: 0005435032
기사 본문

청년세대-기성세대 시각차 여력되는 대기업·공기업 위주 적용 우려 눈 높아진 청년세대, 취업·승진 위축 걱정 연공서열 한계 지적도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현재 정년연장 논의가 진통을 겪는 큰 이유 중 하나는 세대별 이해관계가 개입돼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좋은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세대와 은퇴가 다가오는 기성세대 간 시각이 확연히 갈린다. 특히 노동계의 주장처럼 현재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없는 정년 65세가 도입될 경우 청년층의 고민은 더 깊어진다. 취업뿐 아니라 승진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법정 정년이 청년층 취업 수요가 높은 대기업·공기업·공공부문 중심으로 적용될 것이란 전망도 청년세대의 불안감을 키운다. 16일 노사정에 따르면 현재 논의 중인 정년연장의 가장 큰 실마리 중 하나는 정년연장에 대한 청년층의 불안을 얼마나 불식시킬 수 있을지 여부다. 청년층 사이에선 '정년연장 = 신규채용 축소'라는 불안이 자리잡고 있다. 한국은행이 올해 발간한 '초고령사회와 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