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상장사가 임원들에게 지급하는 보수의 산정 근거와 규모를 주주들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시 기준이 강화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의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개선안은 임원 전체 보수 공시에 최근 3년 동안의 총주주수익률과 영업이익 등을 병기하고 임원별 보수 산정 근거를 구체화해 밝히도록 했습니다. 이밖에 주주총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의안별 찬성률을 공시하고 주총 시기를 분산해 개최하도록 유도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영문공시 대상을 현재 자산 10조 원에서 2조 원 이상 상장사로 확대하고 공시 항목도 늘리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기사 본문
금융당국, 자본시장 접근성·주주권익 제고 위한 개선방안 발표 2028년까지 코스피 전체 상장사 영문공시 3단계 의무화도 추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와 주주총회 결과 공시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금융당국이 영문공시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임원보수지급내역 등 주주총회 결과 공시 등을 강화하는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이번 개선 방안은 자본시장 접근성 및 일반주주권익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 "코스피시장 '글로벌 투자금' 유입 늘려라" ━ 현재 영문공시는 2024년 1월부터 시행됐다. 자산 10조원 이상 대규모 코스피 상장사(2024년 기준 111개사)는 주요경영사항 일부(26개 항목)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국문공시를 제출한 뒤 3영업일 안에 영문공시를 제출토록 한다. 2026년 5월1일부터는 영문공시 2단계 의무화를 시행한다. 주주총회 결과의 영문공시는 2026년 ...
기사 본문
금융위, 자본시장 접근성·주주권익 제고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주총 당일 표결결과 공시...정기보고서에는 표결 주식수도 공개 임원보수에 TRS·영업익 병행 공시...RS 미실현 현금환산액도 공시 내년부터 자산 2조원 상장사 영문공시 확대…28년엔 코스피 전체 앞으로 상장사들은 주주총회 결과를 더 상세히 공시해야 한다. 지금까지 공시하지 않던 찬성률 등 표결 결과를 주총 당일에 밝히도록 공시를 개정하면서다. 임원 보수 공시도 이전보다 강화한다. 그동안 임원 보수 산정 내역을 비교적 단편적으로 제공했지만 앞으로는 주가와 실적을 산정근거에 같이 기재해야 한다.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 등 주식보상을 부여할 땐 부여 수량뿐 아니라 현금환산 금액까지 표시해야 한다. 2024년 20일 경기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5기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참석자들이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 주총 안건 찬성·반대율 당일 공시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는 16일 이 같은 ...
기사 본문
코스피 2조 이상 기업, 2026년부터 주요 공시 ‘영문 병기’ 의무화 2026년 주총부터 안건별 찬성률 공개…표결 투명성 강화 임원보수 성과 연동 세부 공개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국내 주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상장사 공시제도를 대대적으로 손질한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국내 주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상장사 공시제도를 대대적으로 손질한다.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는 2026년 5월 1일부터 주요 공시를 영어로도 제출해야 하며, 주주총회에서는 안건별 찬성률을 즉시 공개해야 한다. 임원 보수 공시도 스톡옵션, 주식기준보상까지 모두 포함해 세부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제가 강화된다. ▼ 관련기사 보기 거래소, ‘2025 코스닥상장법인 공시담당자 워크숍’ 개최 https://www.dailian.co.kr/news/view/1563696 내년부터 코스피 상장사 전체 ‘지배구조보고서...
기사 본문
주총 안건별 찬반 비율 공개…임원 주식 보상도 현금 가치 명시 금융위원회가 영문 공시 의무 대상 확대, 주주총회 표결 공개 등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 /사진=뉴시스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주주 권익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 공시 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핵심은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주주총회 표결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하는 것이다. 17일 뉴시스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전날 밝혔다. 가장 큰 변화는 영문 공시 의무화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기업 정보를 얻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은 기존 '자산 10조원 이상'에서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대상 기업은 약 111개에서 265개사로 두배 이상 늘어난다. 오...
기사 본문
금융위, 공시 개선 방안 발표 내년 자산 2조 코스피 상장사 영문공시 의무화 주총 공시도 강화…안건별 표결·임원 보수 투명 공개 [서울=뉴시스]이지민 우연수 기자 = 금융당국이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 제고와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해 기업 공시 제도를 손질한다. 내년부터 영문 공시 의무화 기업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하고, 2028년에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와 대형 코스닥 기업으로까지 대상을 넓힌다. 또 내년 주주총회부터 안건별 표결 결과와 임원 보수 내역도 한층 투명하게 공개된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 공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영문 공시 의무 대상을 기존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서 내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 현행 1단계 적용 대상은 111개사며 내년부터는 약 265개사가 영문 공시를 해야 한다. 영문공시 항목은 사실상 자율공시 외 모든 공시로 확대된다. 내년부...
기사 본문
자본시장 접근성·주주권익 제고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 발표 주주총회 찬성률 공시 도입…임원보수 정보제공도 강화 2028년 전체 코스피·대형 코스닥 상장사로 영문공시 의무 확대 추진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내년 5월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도 영문 공시가 의무화된다. 상법 개정에 따라 2027년 주주총회부터 전자주주총회가 의무화되는 만큼, 3월에 몰리는 주총 분산을 유도하고, 임원에 대한 주식기준보상도 함께 강화한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자본시장 접근성과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내년 5월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영문공시 의무화 개선방안에 따르면 내년 5월1일부터 영문공시 의무 대상법인이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 2024년 말 기준 265개사가 해당된다. 현재는 자산 10조원 이상 대규모 코스피 상장사 111개사가 의무 대상이다. 공시 항목도 현재 26개에서 주요경영사항 전부인 55개 항목과 공정공시, 조회공...
기사 본문
지난해 3월 20일에 열린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 연합뉴스 내년 주주총회부터 의안별 찬성률 등 표결 결과 공시가 의무화된다. 임원보수 공시도 강화된다.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본시장 접근성 및 주주권익 제고를 위한 기업공시 개선방안'을 오는 17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규정변경예고한다고 16일 밝혔다. 내년 3월부터는 거래소 공시(수시공시)로 의안별 표결결과(찬성률, 반대·기권 등 비율)를 주주총회 당일 공시해야 한다. 또, 사업보고서 등 정기보고서에 공시대상기간 중 주주총회 의안별 표결결과(찬성률, 반대·기권 등 비율 + 찬성주식수, 반대·기권 등 주식수)를 공시하게 된다. 이런 주주총회 표결결과 공시 강화는 미국, 일본, 영국 등 여러 해외 주요국과 달리 의안별 가결 여부에 대한 정보만 공시될 뿐 찬성률 등 표결결과는 제공되지 않아 개선 요구가 제기됐던 부분이라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상장사의 약 90%가 주총을 3월 하순에 집중개최해 주주들의 참여 제약 요인으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