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ETF 두각…양자컴퓨팅·AI 인프라는 급락[ETF 스퀘어]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1-17 02:08:0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1-16 13:04:15 oid: 014, aid: 0005434963
기사 본문

[파이낸셜뉴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중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기술수출 기대와 코스닥 구조적 특성이 맞물리며 관련 섹터로 자금이 유입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반면 미국 금리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성장주·AI 인프라·양자컴퓨팅 테마는 조정을 받으며 테마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수익률 상위권을 바이오 관련 ETF가 휩쓸었다.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가 17.95% 상승하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가 14.75%,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가 14.02% 상승했다. 이어 ‘RISE 바이오TOP10액티브’(10.90%),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9.76%) 등이 뒤를 이었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와 일평균 거래량 10만주 미만 종목은 제외한 기준이다. 바이오 관련 ETF 강세는 대형 기술수출 계약이 촉발한 기대 확산의 영향이 크...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16 16:07:20 oid: 009, aid: 0005590817
기사 본문

한달간 ETF상장 분석해보니 액티브형 9개 중 주식형 6개 운용사 자율적 판단으로 종목 조절해 초과수익 추구 'TIMEFOLIO글로벌탑픽' ETF 담은 ETF로 관심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액티브 상품 출시가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증시 호황기를 노려 시장 대표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운용사가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ETF 19개 중 9개가 액티브 ETF다. 신상품 출시 중 절반가량이 액티브 상품이었던 셈이다. 기존 ETF 시장에서 전체 상품의 약 26%만이 액티브 상품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들어 액티브 ETF 상품 출시 빈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ETF는 액티브 상품과 패시브 상품으로 나뉜다. 패시브 상품은 지수 추종을 목표로 해 지수 구성 종목과 비중을 운용사가 자의적으로 교체할 수 없다. 반면 액티브 상품은 운용사의 자율적 판단으로 구성 종목과 비중을 조절해 비교지수 수익률을 추월하고자...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16 14:53:06 oid: 009, aid: 0005590794
기사 본문

증시 변동성 커지자 안전자산 쏠림 증시 급변동에 금 투자 수요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골드바. <연합뉴스> 지난 한 주 동안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는 금융채, 커버드콜, 금 현물 ETF 등 안정성이 높은 자산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멈추고 급등과 급락이 발생하며 변동성이 커지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코스콤 ETF CHECK에 따르면, 지난 한 주(10~16일) 동안 ‘KODEX 26-12 금융채(AA-이상)액티브’에 2447억원이 순유입되며 가장 많은 자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년 11~12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신용등급 ‘AA-’ 이상의 국내 금융채에 투자하는 만기매칭(존속기한)형 액티브 상품이다. 경남은행, 신한은행, 케이비캐피탈 등이 발행한 금융채를 담고 있다. 증시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내면서도 국고채나 정기예금보다 높은 이자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의 매력이 커졌다는...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16 18:10:15 oid: 014, aid: 0005435050
기사 본문

바이오업계 추가 기술수출 기대감 내년 초까지는 계절성 호재 작용 美 성장주·AI·양자컴 줄줄이 약세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중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기술수출 기대와 코스닥 구조적 특성이 맞물리며 관련 섹터로 자금이 유입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반면 미국 금리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성장주·AI 인프라·양자컴퓨팅 테마는 조정을 받으며 테마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수익률 상위권을 바이오 관련 ETF가 휩쓸었다.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가 17.95% 상승하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가 14.75%,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가 14.02% 상승했다. 이어 'RISE 바이오TOP10액티브'(10.90%),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9.76%) 등이 뒤를 이었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와 일평균 거래량 10만주 미만 종목은 제외한 기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