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집 마련하려면 월급 14년 모아야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6개
수집 시간: 2025-11-17 01:0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서울경제 2025-11-16 17:49:10 oid: 011, aid: 0004556466
기사 본문

생애 첫 주택구입은 7.9년 소요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해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가량 모아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교통부의 ‘2024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급여를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기간을 뜻한다.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14년가량 월급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셈이다.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걸린 기간은 7.9년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7.7년)보다 0.2년 늘어난 수치다.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소요된 기간은 2019년 6.9년으로 줄었지만 2020년부터 줄곧 7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가 주택을 보유한 가구는 전체의 61.4%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60.7%)에 비해 0.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국민의 주거환경과 가구...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17 00:29:10 oid: 005, aid: 0001814806
기사 본문

서울 집 사려면 월급 14년치 모아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청년·신혼부부가 자기 소유 집에 거주하는 비율이 줄고, 주거 면적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에서 집을 사기 위해선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지난해 하반기 6만1000가구를 방문해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거주 여부와 무관하게 집을 소유한 이들 비중은 61.4%로 전년(60.7%)보다 0.7% 포인트 증가했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사는 이들을 뜻하는 ‘자가점유율’도 58.4%로 1년 전(57.4%)과 비교해 1.0% 포인트 늘었다. 다만 연령별로 보면 상황이 다르다. 15~34세 청년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2.2%로 전년(14.6%)과 비교해 2.4% 포인트 감소했다. 청년층 비중이 높은 신혼부부(결혼 후 7년 이내) 상황도 비슷했다. 자가점유율은 43.9%로 전년(46.4%)과 비교해 2...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6 13:16:32 oid: 025, aid: 0003482916
기사 본문

14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에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뉴스1 지난해 기준 서울에 집을 장만하려면 월급 14년치를 고스란히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생애 첫 집 마련엔 약 8년이 걸렸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방문해 면담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였다. PIR은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저축했을 때 집을 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서울의 PIR 13.9배는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다. 권역별로는 전년 대비 수도권이 8.7배로 2023년(8.5배)보다 상승했고, 광역시...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16 13:40:26 oid: 421, aid: 0008607110
기사 본문

전국 생애 첫 내 집 마련 소요 기간 평균 7.9년, 2023년보다 2개월↑ 자가점유율 청년 12.2%·신혼 43.9%…전년 대비 각각 2.4·2.5%p↓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약 14년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체 기준으로는 평균 8년 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적으로 생애 첫 내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9년으로, 2023년(7.7년)보다 약 두 달 늘어났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면담 방식으로 진행됐다. 서울 PIR 13.9년…전국은 6.3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전국 6.3배(약 6년 4개월)로 전년과 동일했다. PIR은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을 때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서울 자가 가구 P...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6 11:13:41 oid: 001, aid: 0015744756
기사 본문

작년 주거실태조사…임차 가구의 월 소득 16%가 임차료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은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가량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1천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작년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셈이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다. 권역별 PIR은 전년 대...

전체 기사 읽기

경기일보 2025-11-16 13:07:14 oid: 666, aid: 0000087901
기사 본문

국토부, ‘주거실태조사’ 발표… 임차 가구 월 소득 16%가 임차료 ‘내 집 소유’ 가구 소폭 증가… 청년·신혼부부 주거 안전성, 하락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경기일보DB 수도권에서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내 집을 마련하려면 평균 8년 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에는 14년 가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전국적으로 생애 첫 내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7.9년으로, 2023년(7.7년)보다 약 두 달 늘어났다. 16일 국토교통부가 전국 표본 6만1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을 경우,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약 14년간 월...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1-16 11:32:20 oid: 055, aid: 0001308348
기사 본문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가량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 1천 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2024년도 주거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습니다. 작년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습니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셈입니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습니다. 권역별 PIR은 전년 대비 수도권(8.5배→8.7배)과 도(道) 지역(3.7배→4.0배)에서 증가했고, 광역시(6.3배)는 동일했습니다. 지난해 전국 ...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6 11:01:13 oid: 018, aid: 0006165084
기사 본문

국토부,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전국 표본 6만 1000가구 대상으로 조사 자가보유율 61.4%·자가점유율 58.4%로 ↑ 생애 첫 주택 마련까지 7.9년 걸려, 5년 전보다 1년↑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가 전체의 61.4%로 집계돼 1년 전보다 소폭 상승했다. 자가 보유 욕구가 높은 편이지만 생애 첫 내집 마련이 실현되기까지는 7.9년이 걸려 5년 전보다 무려 1년 가량 더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부가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표본 6만 1000가구를 대상으로 대면 면접 방식을 통해 주거 환경 등을 조사한 내용이다. ◇ 87%는 내집 필요…생애 첫 주택 마련까진 8년 작년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61.4%로 2023년(60.7%)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도 지역 69.4%, 광역시 등 63.5%, 수도권 55.6%로 모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