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HD현대 회장 "5년 간 약 15조 국내 투자"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에너지·기계 로봇 8조..조선해양 디지털 전환·생산 자동화에 7조 美 조선산업 재건에 50억달러 펀드 조성..美 공동 건조 조선소 설립 협의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5년 간 약 15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HD현대오일뱅크 등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분야와 HD현대로보틱스, HD현대건설기계 등 AI 시대 기계 로봇 사업에서 절반 이상인 8조원을 투자한다. 조선해양 분야에서도 7조원을 투입해서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를 추진한다. 정 회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내 주요 그룹 총수 초청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래 지속적인 K조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국내 최대 조선해양 산업 클러스터인 전남의 대불 산업단지에 ...
기사 본문
한화그룹 여승주 부회장·HD현대 정기선 회장, 대통령 주재 민간 합동회의 참석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를 이끄는 한화그룹과 HD현대그룹이 미국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국내 조선·방산 분야에도 26조원 투자를 약속했다. 16일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 세부 합의를 담은 공동 팩트시트 후속 논의를 위한 민간 합동회의를 개최했다. 국내 조선·방산업계를 대표하는 한화그룹 여승주 부회장과 HD현대 정기선 회장은 이번 회의에 참석해 미국 사업 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계 선순환 구조를 도모하는 한편 한국시장 투자 계획을 밝혔다. 한화그룹과 HD현대그룹은 이번 한·미 관세협상에서 주효한 역할을 한 마스가 중심에 있다. 공동 팩트시트에는 1500억달러 조선협력투자가 명시됐다. 국내 기업 주도인 만큼, 한화·현대HD 등이 미 조선소...
기사 본문
16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서 발언 “5년간 국내 투자 15조…AI 로봇에 8조 투입” “전남에 스마트조선소, 조선기술실증센터 추진…데이터센터와 연계” 헌팅턴 잉걸스, 안두릴 등 현지 기업들과 협력도 공개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미국 주요 조선방산 기업들과의 함정 및 상선 공동 건조 추진 현황과 함께 5년간 그룹 계열사를 총동원해 국내에 15조원 규모로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16일 정 회장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마스가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노력하겠다”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이 참석했다. 국내 투자는 구...
기사 본문
16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서 발언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향후 5년간 약 15조 규모의 국내 투자를 계획 중"이라며 "HD현대에너지솔루션, HD현대오일뱅크 등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분야와 HD현대로보틱스, HD현대건설기계 등 AI 시대 기계 로봇 사업에서 절반 이상인 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6 [사진=연합뉴스] 이어 "조선해양 분야에서도 7조원을 투입해서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방 분산 발전과 관련해서는 "국내 최대 조선해양 산업 클러스터인 전남의 대불산업단지에 스마트 조선소 구축 기술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며 "전남 대불산업단지에 AI 조선기술 실증센터와 AI 기반 스마...
기사 본문
한화, 옥포조선소 확장 등 수요대응 HD현대도 합병 통해 경쟁력 강화 HD현대 울산조선소 전경. 사진제공=HD현대 [서울경제] 국내 대표 조선·방산 기업인 한화그룹과 HD현대그룹은 향후 5년간 국내에 각각 11조 원, 15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16일 발표했다. 조선·방산 분야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1500억 원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의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고 필수 전략 자산인 핵추진잠수함 건조까지 가능하게 되는 수혜를 얻었다. 한화그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관련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내 조선·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약 1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만나 “방산사업의 성장과 조선업의 정상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정부와 국민의 큰 지지와 성원을 받았다”며 “11조 원의 국내 투자를 통해 협력 업체 매출이 2024년 9조 원에서 2030년 21조 원으로 2.3배 성장...
기사 본문
정 회장 "디지털 전환,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에 2030년까지 5년 동안 1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 주재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인공지능(AI) 시대 기계 로봇 사업에서 절반 이상인 8조원, 조선해양 분야는 7조원을 투입해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D현대는 '신생에너지'(HD현대에너지솔루션·HD현대오일뱅크)와 'AI 기계·로봇'(HD현대로보틱스·HD현대건설기계) 분야에 8조원을, HD한국조선해양 산하 계열사들은 조선·해양 분야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에 7조원을 투입한다. 정 회장은 이번 투자가 지역 균형 발전에도 도움이...
기사 본문
"내년 美 조선소 인수, 향후 현지 조선소 설립" 마스가 구상 공개 대불산단 스마트조선소 구축·AI 기술 수출까지 정기선 HD현대 회장. 2025.10.27/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한병찬 기자 = 정기선 HD현대(267250) 회장이 16일 향후 5년간 약 15조 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단행해 조선·해양과 인공지능(AI) 기반 기계·로봇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 주재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인공지능(AI) 시대 기계 로봇 사업에서 절반 이상인 8조 원,조선해양 분야는 7조 원을 투입해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를 추진하겠다"며 이러한 투자 계획을 공식화 했다. 구체적으로 HD현대는 '신생에너지'(HD현대에너지솔루션·HD현대오일뱅크)와 'AI 기계·로봇'(HD현대로보틱스·HD현대건설기계) 분야...
기사 본문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며 "5년간 약 15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지금 조선산업 재건은 비단 트럼프 정부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장기간 지속될 이슈"라며 "현재 중국의 세계 조선산업 지배력이 날이 갈수록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국 조선업 재건 사업은 저희가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미국 조선산업 재건이 단순한 과제가 아닌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조선산업의 특성상 조선소 공급망, 인력 등 다각도의 인프라 투자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긴밀하게 ...